올 수출 역대 최대라지만...
글로벌 공급망 교란 등 도사려
산업硏 "주력품목 수출 증가율
올해 7분의 1에 그칠 것"
올해 연간 최고치 달성에 바짝 다가선 우리 수출이 내년에도 반도체 수출 호조 지속 등에 힘입어 최고점을 찍을 것으로 예측됐다. 다만 코로나19 확산 지속, 미·중 무역분쟁 심화, 중국경기 둔화 등 대외 불확실성 요인 등으로 인해 수출 증가폭은 올해보다 크게 둔화될 것이란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특히 미·중 무역분쟁 심화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교란을 우리 수출의 가장 큰 위험 요인으로 보고, 공급망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 합동 대응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최근 산업연구원이 내놓은 ‘2022년 경제 및 산업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내년 연간 우리나라 수출액(통관 기준)이 세계 수요 회복과 수출단가 상승 등으로 6381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산업연구원이 올해 연간 수출액으로 제시한 6296억 달러보다 많은 금액이다. 6296억 달러는 연간 최대치를 기록한 2018년 수출실적(6049억 달러)을 뛰어넘은 수치인데 우리 수출이 내년에도 최고치를 경신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산업연구원은 “올해 수출 급증에 따른 기저효과와 코로나19 확산 지속,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교란 지속, 중국경기 둔화 등 대외여건 불확실성으로 증가 속도는 상당폭 둔화될 것으로 예상됐다”고 진단했다. 올해 수출이 전년보다 20% 이상 성장하는 것과 달리 내년 수출이 1.3% 성장에 그친다는 분석이다.
우리 수출의 버팀목인 13대 주력품목 수출 증가율은 올해(25.6%) 대비 크게 둔화된 3.4%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구체적으로 가전 수출은 코로나19 특수 종료와 국내업체의 해외 생산공장 정상화에 따른 국내 생산물량 감소로 올해 대비 6.8% 줄 것으로 관측됐다. 반도체는 지속적인 수요 증가와 함께 국내 생산능력 확대로 4.2% 증가해 역대 최대 수출실적을 기록할 전망이다. 디스플레이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수요 증가 및 단가 상승으로 1.7% 늘고, 정보통신기기는 5G 서비스 시장 성장에 따른 세계 스마트폰 시장 회복 등으로 19.9% 급증할 것이란 관측이다. 자동차는 차량용 반도체 공급망 불안정 지속 우려로 올해보다 낮은 6.2%의 증가율에 그칠 것으로 예측됐다.
철강은 수출단가 조정으로 5.6% 줄고, 석유화학은 국내 생산설비 증설에 따른 공급능력 증가로 3.4% 늘 것으로 분석됐다. 정유는 액화천연가스(LNG) 가격 급등으로 인한 대체수요 확대 지속 영향으로 15.3% 늘 것으로 전망됐다. 일반기계는 주요국의 환경규제 대응 영향 등으로 3.4% 늘 것으로 관측됐다. 조선 수출(물량)은 코로나19로 인한 지난해 수주절벽 영향으로 13.1% 줄어들 전망이다.
신성장 품목인 바이오헬스 수출은 코로나19 백신 수주 증가, 주요국 바이오시밀러 시장 확대 등으로 6.4%, 이차전지는 주요 수출국인 미국의 수요 확대 등으로 6.5%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전문가들은 내년에도 수출 증가세가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나, 수출 하방 리스크인 대외여건 불확실성 요인들이 상존해 있는 만큼 이에 대한 철저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주문한다.
특히 미·중 무역분쟁 및 첨단기술패권 경쟁 심화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재편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한 대응 전략 마련을 강조했다. 앞서 중국의 자국 내 석탄 공급 확보를 위한 요소(차량용 요소수 원료) 수출 제한으로 우리 경제가 큰 혼란을 겪으면서 소재·부품·장비는 물론 원자재의 수입선 다변화의 필요성이 부각됐다.
홍성욱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응해 원료·소재의 대중 의존도 경감, 수출입선 다변화를 통한 글로벌 진출 강화, 공급망 전반의 역량 제고를 위한 산업생태계 강화 지원 정책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도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지속으로 인한 글로벌 공급만 교란 확대 가능성에 대비해 원자재·소재·부품·장비 공급망 안전성 확보에 민관의 공동 대응이 요구된다”고 주문했다. 그는 또 “국지적 글로벌 리스크 요인인 신흥시장 긴축발작, 차이나리스크 현실화 가능성에 대비해 조기경보시스템 및 비상계획 구축, 외환시장 내 투기적 요인 관리·감독 강화도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