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세계 車 판매량 'V자 반등'…한ㆍ중ㆍ일 제조사 점유율, 50% 넘어

입력 2021-08-19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해외 주요시장 판매량, 전년 대비 30% 증가한 2857만대…2019년과 비교하면 8% 감소

▲제네시스가 5월 유럽 시장 진출을 선언했다. (사진제공=제네시스)

올해 상반기 해외 주요시장의 완성차 판매량이 지난해보다 30% 증가하며 ‘V자 반등’했다. 한국, 중국, 일본 제조사의 시장 점유율은 50%를 넘어섰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가 19일 발표한 ‘2021년 상반기 해외 주요 자동차 시장 판매 및 정책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해외 주요시장 판매량은 전년 대비 30.6% 증가한 2857만대로 집계됐다. 주요 자동차 시장은 미국, 중국, 유럽, 인도, 멕시코, 러시아, 브라질을 뜻한다.

올해 상반기 주요 시장 판매량은 지난해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기저효과로 증가세를 보였지만, 2019년과 비교하면 8% 감소한 수준을 나타냈다. 코로나19 사태의 여파가 여전히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이다.

시장별로는 인도가 판매량이 95.2% 급증하며 가장 큰 회복세를 보였다. 이어 △러시아 38.2%↑ △미국 29.3%↑ △중국 27.5%↑ △유럽 27.1%↑ △브라질 26.3%↑ △멕시코 18.1%↑ 순으로 증가했다.

▲상반기 해외 주요시장별 자동차 판매 현황 (사진제공=KAMA)

인도시장은 지난해 봉쇄령으로 판매 급감을 겪었기 때문에 기저효과도 가장 크게 나타났다. 미국시장은 백신 보급과 정부의 경기 부양책이 효과를 내며 판매 회복으로 이어졌고, 중국시장은 전기차 등 신에너지차 판매량이 200% 이상 급증하며 2019년 상반기 판매량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유럽시장은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봉쇄조치 강화, 브라질은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에 따른 생산 차질(약 10~12만 대) 등의 영향으로 판매 회복이 일부 제한되며 2019년 대비 23% 줄어든 판매량을 거뒀다.

국적 제조사별 판매량에서는 아시아계(한국ㆍ중국ㆍ일본)의 점유율이 50.6%로 절반을 넘어섰다. 지난해 아시아계 점유율은 47.8%였다. 미국계와 유럽계의 합산 시장점유율은 지난해 50.1%에서 올해 46.7%로 감소했다.

▲중국 창저우시 베이징현대 딜러점 (사진제공=현대차)

중국계는 내수 중심으로 전기차 업체를 비롯한 토종 브랜드가 성장했고, 한국계는 최근 시장 수요에 맞게 SUV와 전동화 모델을 빠르게 확충하며 미국ㆍ유럽ㆍ인도를 중심으로 시장점유율을 확대했다. 일본계도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해외 주요시장 점유율을 소폭 늘렸지만, 하이브리드(HEV) 모델 중심의 제품군을 갖추고 있어 전기차 성장세가 뚜렷한 유럽시장과 중국시장 내 점유율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계는 반도체 부족 영향을 가장 크게 겪었다. 자국인 미국시장에서 판매 증감률(15.5%↑)이 한국계(48.1%↑), 유럽계(42.6%↑), 일본계(38.4%↑)보다도 낮게 나타났다. 유럽계는 전동화 모델을 확대하고 있지만, 최대 전기차 시장인 중국에서 판매 증가율이 13.7%에 그쳐 중국 브랜드에 점유율을 일부 내준 것으로 분석된다.

▲상반기 해외 주요시장 메이커 국적별 판매 현황 (사진제공=KAMA)

정만기 KAMA 회장은 “세계 자동차 시장 수요가 지난해 코로나19 이후 침체에서 회복되는 과정 중에 있다”라며 “한국의 생산량 증대로 세계 시장 점유율을 지속해서 확대하기 위해서는 노동 유연성 강화와 전기차 등 미래차 경쟁력 확보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이어 “미래차 연구·개발 투자 관련 시설에 세액공제를 확대하고 데이터 수집·활용 규제 완화 등 지원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