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대책' 전문가 진단
정부 '판단 미스' 미흡한 대처
달걀 4일치 소비량 수입에 그쳐
"8월에는 금리 인상 필요" 중론
![](https://img.etoday.co.kr/pto_db/2021/08/600/20210804175004_1651898_976_449.jpg)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4일 “전년 동월 대비로 보면 추석 전까지는 물가가 떨어졌다가 추석 즈음에 올라갔어야 정상인데 올해 7월에 이미 2.6% 상승했다”며 “비축물 등 공급 측 요인은 사실상 손을 댈 수 있는 부분이 없고 하반기에는 11월쯤 집단면역과 맞물리면서 수요 측 압력이 더욱 커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정부의 국민지원금 등 유동성은 큰데 금리는 변동이 없어서 물가 상승 요인은 충분하다”며 “수요라는 것이 급격하게 변하지 않아 공급 측면을 세심하게 관리해야 하는데 잘 되고 있지 않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21/08/600/20210803182917_1651496_913_397.jpg)
이 교수는 “달걀 등을 비롯한 식자재 가격뿐만 아니라 원유 가격도 올라 서민들 입장에서는 굉장히 두려운 상황”이라며 “정부는 서민들의 식생활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품목들을 위주로 공급 관리를 조금 더 세심하게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물가가 작년 하반기에는 낮았고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많이 올라온 상황이라 하반기에도 2%대 수준은 계속 유지할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전반적으로 물가가 오르는 추세에서 밥상물가도 오르는 상황이라서 물가 상승 기대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정부가 추석 전 지급을 추진하고 있는 국민재난지원금이 물가 상승을 부채질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김 교수는 “1년 예산이 500조 원 수준인데 지원금만 해도 30조 원 규모”라며 “예산의 6%가 시중에 풀리기 때문에 물가를 올리는 요소는 분명히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하 교수는 “재정을 통해 내수를 진작시키는 정책이어서 물가 상승 압력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금통위원 중 일부는 9월에 추석이 있으니 8월 인상을 생각하는 사람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11월에 집단면역이라고 하면 10월부터 소비 추격이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8월에는 인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21/08/600/20210803090245_1651109_1000_665.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