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해 사모펀드 855개·약정액 97.1조···제도개편 후 5년째 증가세

입력 2021-07-21 17:0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내 PEF 현황(자료제공=금융감독원)
2015년 사모펀드 제도가 개편된 이후 경영참여형 사모집합투자기구(PEF)의 성장세가 계속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PEF는 855개로, 사전 등록제의 사후 보고제 전환 등 PEF 제도 개편이 있었던 2015년에 비해 2.7배 늘었다. 2015년 316개였던 PEF는 2016년 383개, 2017년 444개, 2018년 580개, 2019년 721개로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투자자가 PEF에 출자를 약정한 금액은 97조1000억 원으로, 2015년에 비해 1.7배 늘었다. 출자를 이행한 금액은 같은 기간 1.8배 증가한 70조6000억 원이었다.

또한 지난해 신설된 PEF 수는 218개로, 전년보다 12개 늘었다. 이들의 약정액은 전년보다 2조3000억 원 많은 17조9000억 원이다. 이 중 프로젝트 PEF는 168개(77.1%)로, 블라인드 PEF보다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프로젝트 PEF는 투자 대상 기업이 사전에 정해져 있어 설립 때 투자처를 정하지 않는 블라인드 PEF에 비해 출자 이행이 빠르다는 특징이 있다.

이 외에도 지난 해 PEF의 투자집행 규모는 18조1000억 원으로, 직전 5년 평균 투자집행 규모(12조8000억 원)을 웃돌았다. 1년 전에 비하면 2조1000억 원 늘어 4년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PEF의 투자대상 기업 565개 중 국내 기업은 488개로 86.4%를 차지했다. 금액 기준으로는 국내 12조6000억 원, 해외 5조5000억 원이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지난 해 국내 PEF 시장은 업무집행사원(GP)과 신규 설립 PEF 수, 투자액 모두 직전 최고 수준을 경신하며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면서 “기관전용 사모펀드 도입, 사모펀드 운용규제 완화 등 사모펀드 체계 개편으로 다양한 투자전략이 가능해짐에 따라 기업구조조정 및 M&A가 활성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업계 의견 청취 및 시장 동향 모니터링을 통해 개편된 사모펀드 제도가 정착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할 예정이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