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1만 보 걸어야 건강?…"日 만보계 회사서 만든 상술"

입력 2021-07-08 16:1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건강을 위해 하루에 1만 보를 걸어야 한다는 이야기를 한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마치 건강상식 처럼 여겨지고 있는 이 운동법이 미신에 가까운 주장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8일 일상 지식의 진위를 판별하는 해설기사에서 하루 1만 보 목표가 비과학적이라고 평가했다.

NYT는 1만 보 목표는 일본에서 1964년 도쿄 올림픽이 끝난 뒤 건강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자 이에 편승해 이익을 보려는 업체가 '만보계'라는 걸음 계측기를 만든 게 시작이었다고 보고 있다. 만보계에서 1만을 뜻하는 '만'(万) 자가 사람이 걷는 모습과 흡사해 판매촉진 차원에서 만보 걷기를 홍보했을 뿐 특별한 과학적 의미는 없다는 설명이다.

그러면서 건강을 위한 걷기 운동은 1만 보 보다 훨씬 적어도 된다고 강조했다. 실제 하버드대 보건대학원의 2019년 논문에 따르면 하루 4400보를 걷는 70대 여성은 2700보 이하를 걷는 같은 연령대 여성보다 조기사망 위험이 40% 정도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자 중 5000보 이상을 걷는 이들의 조기사망 위험은 계속 떨어졌으나 그 건강증진 추세는 7500보에서 정점을 찍었다. 1만 보까지 걷는다고 해서 건강 이익이 계속 증가하는 것은 아닌 것이다.

NYT는 미국 의학협회 저널 네트워크(JAMA Network)에 2020년 3월 게재된 논문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찾아냈다. 이 연구의 결론은 하루 1만 보는 장수의 조건이 아니라 8000보 정도를 걷는 사람이 4000보를 걷는 사람보다 심장질환 등으로 일찍 죽을 위험이 절반이라는 분석이었다.

또 미국, 캐나다를 비롯한 서구 국가에서 대다수 성인들의 하루 걷기량이 5000보 미만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1만 보라는 과도한 목표 설정이 걸을 의욕을 떨어뜨릴 수 있다고도 주장했다.

아이민 리 하버드대 보건대학원 박사는 "미국을 비롯한 다수 국가 정부에서 공식 권고하는 육체 활동량이 하루 30분 정도이며 이를 걸음으로 환산하면 하루 2000∼3000보 정도"라며 "운동의 최적점으로 여겨지는 수준은 하루 7000∼8000보"라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