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잉, 일본 급유기 부품가 1500% 인상…미 공군 반발

입력 2021-06-08 15:4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항행등 예비 부품 가격 기존 단가 1500% 인상
일본 급유기 담당하는 미 공군 반발
회사 측은 애초 공군 과소 청구 때문이라 해명

▲보잉의 급유기 KC-46이 지난해 4월 7일(현지시간) 워싱턴 에버렛 공항에서 이륙을 준비하고 있다. 에버렛/AP뉴시스
보잉이 급유기 일부 부품 가격과 관련해 일본 정부에 1500% 넘는 인상 폭을 제시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일본 급유기를 관리하는 미국 공군은 반발하고 나섰다.

매체에 따르면 보잉은 KC-46 급유기의 예비 부품 계약을 놓고 과거 미 공군이 지급한 것보다 1500% 많은 가격을 일본 정부에 청구했다.

앤 스테파닉 미 공군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미 공군은 전체 계약 가격 가운데 약 1000만 달러 정도는 합리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었다”며 “예비 부품 관련 비용을 뒷받침할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공군은 애초 140개 부품에 대한 가격을 요청했는데, 이후 받은 부품 정보는 항행등을 포함해 29개로 줄었다”며 “이 가운데 28개 부품에 대한 가격을 구할 수 없었다”고 지적했다.

앞서 4월 일본은 KC-46 급유기와 관련해 7900만 달러(약 880억 원) 수준의 예비 부품 계약을 맺었다. 이 가운데 항행등 부품이 지나치게 높은 가격에 책정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번 문제는 항행등처럼 일부 ‘상업 품목’으로 분류된 부품 거래를 놓고 군대와 기업이 마찰을 겪는 사례 중 하나라고 블룸버그는 설명했다.

현재 미 공군은 일본 KC-46 급유기 4기를 담당하고 있으며 일본 정부가 자체 자금을 통해 비행기 비용을 지급하고 있다.

보잉 측은 성명을 통해 “선의의 노력으로 미 공군에 항행등에 대한 가격 정보를 제공했다”고 반박하고 있다. 캐슬린 켈리 보잉 대변인은 “항행등 비용은 전체 계약 금액의 1% 미만에 불과하다”며 “회사는 공군이 부품 공급 업체와 직접 협상할 수 있게 계약에서 항행등을 제외하겠다고 했지만, 공군은 그대로 조달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부품 가격 1500% 인상에 대해서는 “과거 부품 계약 시 공군의 실수로 과소 청구됐던 것”이라고 해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