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이자도 못 갚는 제조업 속출…단기 부실위험 기업 211개 늘어

입력 2021-06-06 12:4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산업연 "10년간 한계기업 비중 2배 증가…부실화 방지 정책 필요"

▲2019년 기준 산업별 한계기업 비중. (자료제공=산업연구원)

국내 제조업 중 대출 이자를 제대로 내지 못하는 한계기업 비중이 최근 10년간 2배 이상 증가했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부실 위험도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연구원은 6일 발표한 '코로나19 이후 경제회복을 위한 한계기업 정상화 과제와 정책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계기업 징후를 보이는 제조업 상장기업은 211개로 조사됐다. 최근 5년 동안 한계기업 징후를 보인 제조업 평균은 155개다.

한계기업은 3년 이상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업력 5년 이상의 기업이다. 이자보상배율이 1이 되지 않는다는 것은 이익으로 이자도 지급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조업 부문에서 한계기업 비중은 꾸준히 증가해 2011년 5.0%에서 2019년 11.9%로 배 이상 늘었다. 9년 이상 한계기업 상태로 존속 중인 장기한계기업도 2009년 34개에서 2019년 164개로 증가했다.

여기에 코로나19로 단기 부실위험이 커지면서 한계기업으로 전환되는 기업도 늘어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보고서는 "한계기업은 특정 산업에서 집중적으로 관찰됐고, 소규모의 오래된 기업으로 낮은 수익성과 높은 타인자본 의존도를 보이는 경우 한계기업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산업별로 조선·철도·항공 등 관련 제조업(기타운송장비 제조업)의 한계기업 비중이 2019년 기준 25.1%로 가장 높았다. 이어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제조업 21.1%, 섬유제조업 18.1% 순이었다.

보고서는 "적극적인 기업 정상화와 부실화 방지 정책이 필요하다"며 "한계기업 정상화를 위해선 기업 단위의 구조조정 촉진 정책이 필요하며, 금융지원 정책도 산업 특성에 따라 차별화해 운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