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SKB컨소시엄, 7개 기관에 양자암호통신 적용ㆍ구축 ”

입력 2021-05-25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산업핵심기술ㆍ개인정보 등 활용 범위 확대

▲SK텔레콤 자회사인 IDQ(ID Quantique) 연구원이 25일 분당 IDQ연구소에서 양자암호통신기술을 네트워크 인프라에 적용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SKT)

SK텔레콤(SKT)과 SK브로드밴드, IDQ(ID Quantique), 유알정보기술 등으로 구성된 ‘SKB컨소시엄’이 ‘양자암호통신 시범 인프라 구축ㆍ운영’ 국책 과제를 대거 수주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과제는 ‘디지털뉴딜’의 일환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주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발주한 과제다. ‘SKB컨소시엄’은 7개 기관 9개 구간에 양자암호통신을 적용·구축한다.

‘SKB컨소시엄’이 수주한 ‘양자암호통신 시범 인프라’ 과제는 한국수력원자력·평화홀딩스·고려대학교 K-Bio센터·ADT캡스 등 7개 기관 9개 구간의 통신망에 양자암호통신을 구축하는 것이다. SKT는 “‘양자암호통신 시범 인프라’ 과제를 최대 확보했으며, 이는 양자암호 분야를 선도하며 쌓아온 차별적 기술력을 인정받은 것”이라고 밝혔다.

‘SKB컨소시엄’은 올해 원자력발전소 등 주요 핵심 산업시설에서 비상 통신망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공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핵심 데이터 및 개인정보보호 강화를 위해 양자암호통신기술을 적용할 계획이다.

SKT는 또 NIA가 발주한 ‘초연결 지능형 연구개발망(KOREN)’의 이기종(異機種) 양자암호 통신망도 구축, 운영한다. SKT는 이번에 ‘KOREN’망에 구축된 서로 다른 양자암호 통신망을 통합 관제할 수 있도록 Q-SDN(양자암호통신망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제어기를 설치하고, 효율적인 통합 관제를 추진하게 된다.

SKT는 “국가 시험망에서 처음으로 이기종 양자암호통신을 관제·운용한다는 점에서 이번 시도는 B2B 양자암호 확산의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하민용 SKT 이노베이션스위트장은 “보안이 최우선인 국가 주요 시설을 넘어서 산업·민간에 걸쳐 양자암호통신이 폭넓게 기여할 수 있게 된 점을 뜻깊게 생각한다”며 “양자암호의 저변을 넓히고, 관련 기술을 고도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