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로스앤젤레스 항구 입항하던 일부 제품 차단
신장 위구르 면화 활용 혐의
![](https://img.etoday.co.kr/pto_db/2021/05/600/20210519162700_1622188_1200_800.jpg)
▲중국 베이징에서 지난달 29일 시민들이 유니클로 매장 앞에 모여 있다. 베이징/AP뉴시스
1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미 세관국경보호국(CBP) 문서를 인용해 당국이 1월 로스앤젤레스 항구로 입항하려던 유니클로 남성 셔츠의 반입을 금지했다고 보도했다. 이후 유니클로 측이 항소했지만, 이를 받아들이지 않은 것으로도 전해졌다.
5월 10일 자 문서에 따르면 유니클로는 해당 셔츠에 사용된 원단이 신장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는 증거를 제출했지만, 사실을 입증하기에 충분한 정보가 되지 못해 세관 당국으로부터 금지 조치를 받았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 당시 미국은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벌어지는 인권 탄압을 문제 삼고 해당 지역에서 생산되는 면화와 이를 활용한 제품에 대한 수입을 제한했다. 이후 나이키와 H&M 등이 신장 제품을 활용하지 않겠다고 선언하자 중국 소비자들이 불매 운동을 맞받아치는 사태로 불거졌다. 당시에도 유니클로는 불매운동의 타깃에서 제외됐다고 블룸버그는 설명했다.
유니클로는 4월 기준 미국에 47개의 매장을 가진 데 반해 중국에서만 809개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다. 회사 전체 매출의 5분의 1이 중국에서 비롯된다.
관련 뉴스
블룸버그는 “유니클로를 보유한 패스트리테일링은 그동안 신장 이슈에 대한 공식 논평을 여러 차례 거부했다”며 “이번 조치가 지난해 12월 트럼프 전 정부가 내린 명령에 따라 시행된 것인지는 명확하지 않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