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러, ‘풍부한 천연자원·신항로’ 북극 놓고 지분 다툼

입력 2021-05-19 15:12수정 2021-05-19 17:5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19~20일 북극이사회 8개국 장관급 회의 열려
러시아, 북극 최대 연안국...영유권 주장
미국 강한 경계감 드러내
시진핑 “북극항로는 빙상 실크로드”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17일(현지시간) 아이슬란드 케플라비크 공군기지에 도착해 손을 흔들고 있다. 블링컨 장관은 19~20일 열리는 북극이사회 장관급 회의 참석을 위해 아이슬란드를 방문했다. 케블라비크/로이터연합뉴스
북극이 기후변화로 천연자원의 보고와 신항로(북극항로)로서의 가치가 주목받으면서 이 일대를 둘러싼 미국과 중국, 러시아의 신경전이 치열해지고 있다.

북극이사회 8개국이 19~20일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에서 장관급 회의를 여는 가운데 각국 모두 존재감 과시에 열을 올리고 있다고 18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보도했다.

북극이사회는 북극의 환경보전 및 지속 가능한 개발을 목적으로 관련 정책을 논의하기 위해 1996년에 창설된 정부 간 협의기구다. 미국과 러시아, 캐나다, 노르웨이, 덴마크, 핀란드, 스웨덴, 아이슬란드 등 북극권 국가 8개국이 회원국으로 참여하고 있다.

북극이사회 장관급 회의는 2년마다 1회씩 개최되는데 자원개발에서부터 기후변화 환경보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를 논의하지만, 물밑에서는 자국의 이권을 놓고 치열한 신경전을 벌이는 장이기도 하다. 이처럼 각국의 이해관계가 교차하는 것은 남극과 달리 아직 북극에 대한 국제적 규칙이 정립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1959년 미국과 영국, 구소련 등은 남극에 대해 영유권 주장을 멈추고 평화적 이용을 위한 조약을 채택했다.

북극 최대 연안국인 러시아는 이 지역의 군사활동을 대폭 확대하며 자국의 경제적 이권을 가장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다. 북극권에 걸쳐 있는 러시아 영토와 영해는 총면적 기준으로 약 300만 ㎢에 달한다. 이는 러시아 전체 영토·영해의 총 18%에 해당하는 규모다. 러시아는 북극 카라해 인접 북부 지역에서 액화천연가스(LNG) 개발에 착수한 상태다.

러시아군은 4월 중순부터 북극에서 잠수함과 함선을 주축으로 한 대규모 해군 훈련을 전개했다. CNN은 러시아의 북극 지방 군사력 강화는 전례 없는 규모라고 전했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전날 모스크바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곳(북극)이 우리 영토, 우리 땅이라는 것을 오랫동안 모두에게 분명했다”며 북극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했다.

그간 북극 개발에 다소 소극적이었던 미국은 최근 러시아에 대해 강한 경계감을 보이며 대규모 군사 훈련을 진행하는 등 맞대응에 나서고 있다. 미 해군은 올해 1월 공표한 북극 전략에서 “북극에서 지속해서 존재감을 드러내지 않는다면 러시아와 중국이 이 일대의 평화와 번영에 점점 도전할 것”이라는 인식을 나타냈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은 이날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에 도착해 가진 기자회견에서 러시아의 북극 군사활동에 대해 “불법적인 해양 이익을 주장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북극권 국가가 아닌 중국은 북극 인접국이라고 자칭하면서 경제적 이권에 대한 야욕을 숨기지 않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북극항로를 ‘빙상 실크로드’라 부르며 일대일로 정책과 연계해 신항로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중국은 북극항로가 개발되면 인도양에서 수에즈 운하를 거치는 항로에 비해 물리적 시간이 약 30% 단축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를 위해 중국은 자국 최초로 북극항로 관측 과학 시험 위성을 쏘아 올릴 예정이며 원자력 쇄빙선 건조 계획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항로뿐 아니라 덴마크령 그린란드의 희토류에도 관심을 쏟고 있다.

이를 의식한 듯 블링컨 장관은 덴마크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그린란드에 대한 중국의 투자에 대해 “규칙에 따라 시행돼야 하며 가장 중요한 산업과 기술은 보호돼야 한다”고 경계감을 표시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