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2019년 기준 100대 기업 실적 데이터 분석
100대 기업의 해외 매출 규모가 2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했다.
17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019년 기준 매출 100대 기업의 2016년~2020년 연결기준 실적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해외 매출 규모가 2019년 미-중 무역전쟁,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 글로벌 경제 위기로 2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했다고 밝혔다.
분기별로 보면 지난해 2분기가 코로나19 펜데믹에 따른 사상 최악의 글로벌 경기 후퇴다. 2019년 2분기보다 무려 17.7%나 감소했다.
3분기에는 중국이 코로나19 쇼크에서 벗어나고 미국도 소비ㆍ고용을 중심으로 개선 흐름을 보이면서 같은 기간 2.8% 증가했다. 다만 4분기에는 3차 코로나 대유행의 영향으로 다시 5.5% 줄었다.
업종별 해외매출의 경우 지난해 전기ㆍ전자를 제외한 자동차ㆍ자동차부품, 에너지ㆍ화학, 종합상사, 철강ㆍ금속, 조선ㆍ기계, 건설ㆍ건설자재 등 주력 업종 대부분 두 자릿수 이상 해외매출이 감소했다.
전기ㆍ전자는 비대면 경제 활성화로 모바일ㆍPCㆍ반도체ㆍ이차전자에 대한 수요 강세로 2019년보다 4.0% 증가했다.
자동차ㆍ자동차부품은 2분기 북미ㆍ유럽 완성차 업체의 생산 중단사태로 7.1% 줄었다.
에너지ㆍ화학은 저유가에 따른 업황 부진과 정제이윤 약세로 26.3% 줄었고, 철강ㆍ금속은 수요 산업의 침체에 따른 판매량 급감으로 12.1% 줄었다.
지역ㆍ국가별 해외매출을 발표하는 상위 20대 기업의 지역별 실적을 집계한 결과 지난해 중국ㆍ아시아 지역의 해외매출이 전년보다 13.8% 줄며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전경련 관계자는 "우리 주요 기업의 글로벌 생산 거점이자 최대 해외 비즈니스 대상국ㆍ지역인 중국, 인도, 베트남 등 아시아 신흥국의 2019년보다 2020년 실질성장률 감소 폭이 6.3%p(포인트)로 상대적으로 컸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미국의 경우 3분기부터 코로나19 경제활동 제한조치를 완화하며 연간 기준 경제성장률이 3분기 33.1%, 4분기 4.0% 각각 기록하면서 이 지역으로의 해외매출도 전년보다 5.0% 증가했다.
유럽의 경우 하반기부터 경제 봉쇄 조치가 완화하고 반도체, 유럽 완성차 업체들의 배터리 수요가 늘면서 해외매출이 0.6% 감소하는 데 그쳤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코로나19 4차 대유행 등으로 기업의 해외 비즈니스 여건이 여전히 불안하다”며 “지난해 기업의 해외매출이 가장 많이 감소한 아시아 신흥국에 대한 시장접근이 개선될 수 있도록 우리 통상당국은 한-인도네시아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CEPA) 비준ㆍ발효, 역내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RCEP) 비준,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가입 여건 조성 등 적극적 통상전략을 전개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