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다이얼링크’에 음식 주문ㆍ배달 기능 추가…소상공인 지원

입력 2021-04-28 08:5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5월부터 강원 원주 지역 시범서비스

▲이용익(왼쪽) SKT 클라우드 사업개발담당, KIS정보통신 채수동 채널사업본부장이 협약식을 체결하고 있다. (사진제공=SKT)

SK텔레콤(SKT)이 스마트폰에서 번호 입력 뒤 통화 버튼만 누르면 고객이 원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는 ‘다이얼링크’ 서비스에 음식 주문/배달 기능을 추가해 소상공인들의 수익 향상을 지원한다.

28일 SKT와 전자금융서비스 기업인 KIS정보통신은 소상공인 대상 ‘다이얼링크’ 기반의 음식 주문/배달 서비스 출시를 위한 전날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KIS정보통신의 협력업체인 올인비즈플랫폼과 강원도 원주 지역 500여 개 소상공인 고객을 대상으로 5월부터 시범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다이얼링크’는 지난달 SKT가 최초로 출시한 서비스다. 키패드에서 서비스 제공자가 지정한 ‘번호’와 ‘별표(*)’ 입력 후 통화 버튼만 누르면 지정된 웹 환경으로 바로 접속할 수 있다.

SKT와 KIS정보통신은 ‘다이얼링크’를 고객이 별도 배달 앱 설치 없이도 배달음식을 주문할 수 있는 새로운 주문 채널로 정립해 고객 서비스 강화와 소상공인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다이얼링크’ 기반 주문/배달 서비스 기능의 핵심은 배달/주문 수수료를 크게 낮춘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월 배달 매출액 300만 원 수준이면 한 달에 최소 8만 원에서 최대 31만 원까지 수수료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다이얼링크’ 기반 주문/배달 서비스는 원주 지역 시범 서비스 뒤 서비스 고도화를 거쳐 연내 전국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이용익 SKT 클라우드 사업개발담당은 “이번 ’다이얼링크’ 기반 음식 주문/배달 서비스는 소상공인들의 수익 개선 기여와 정보 취약계층 편의향상 등으로 ESG 경영의 좋은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SKT 빅데이터 기반의 고객분석 역량을 활용해 소상공인 지원 서비스를 지속 발굴하겠다”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