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닭고기·달걀값 급등에 생산자물가 4년만 최고

입력 2021-02-19 06:0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공산품값도 8개월째 상승..전력 등은 하락
한파·AI·유가 상승 및 전방산업 수요회복

(한국은행)

생산자물가가 4년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파와 닭고기, 달걀 등 농축산물값이 급등한데다, 석유와 화학제품을 중심으로 한 공산품값도 8개월째 상승세를 보였기 때문이다. 반면, 전력 등은 상승 한달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19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1월 생산자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9% 상승한 104.88을 기록했다(2015년 100 기준). 이는 석달 연속 상승한 것으로 2017년 1월(+1.5%)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것이다. 지수기준으로는 2013년 4월(104.93) 이후 7년9개월만에 최고치다.

전년동월과 견줘서는 0.8% 올랐다. 이 또한 두달 연속 오름세로 작년 1월(1.1%)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한 것이다.

품목별로 보면 농림수산품이 7.9%(전월대비 기준, 이하 동일) 올라 2018년 8월(8.0%)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특히, 축산물은 11.8% 급등해 2011년 1월(20.4%) 이후 10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파와 조류인플루엔자(AI) 여파로 인한 출하량 감소로 양파(29.5%)와 파(53.0%), 닭고기(42.8%), 달걀(34.0%)값 등이 급등한 때문이다.

공산품도 1.0% 올라 직전월(1.2%)에 이어 두달 연속 1%대 오름세를 기록했다. 국제유가 상승에 석탄 및 석유제품이 8.1% 올라 석달연속 상승한데다, 전방산업 수요회복 등에 화학제품(1.0%)도 두달연속 1%대 오름세를 이어갔기 때문이다. 경유(9.7%)와 나프타(14.0%), 자일렌(크실렌)(9.3%) 등을 중심으로 올랐다. 같은기간 두바이유는 10.0% 급등한 배럴당 54.82달러를 기록했다.

서비스업(0.5%)도 상승했다. 주가상승 여파에 위탁매매수수료(9.6%)를 중심으로 올랐다.

반면, 전력, 가스, 수도 및 폐기물은 1.2% 떨어져 하락전환했다. 이달부터 도입된 원가연계형 전기요금체계가 영향을 미쳤다.

한은 관계자는 “한파와 AI 등에 따른 출하량 감소와 국제유가 상승 및 전방산업 회복 등으로 생산자물가 오름폭이 확대됐다”며 “2월 들어서도 12일까지 두바이유가 58.7달러로 1월대비 7% 상승했고, 원자재값도 CRB기준 4.5% 올라 오름세를 지속할 전망”이라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