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버 첫 소득신고, 상위 1% 27명 '평균 6.7억'

입력 2021-02-14 09:2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게티이미지뱅크)

유튜버 등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 업종코드 신설 이래 첫 종합소득 신고 내용이 공개된 결과 상위 1% 27명이 평균 6억7000만 원의 소득을 신고했다.

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받은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 수입금액 백분위 자료'에 따르면 2019 귀속연도 종합소득을 신고한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는 총 2776명으로, 이들이 신고한 수입금액은 총 875억 원이다. 1인당 평균 3152만 원인 셈이다.

그동안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 업종코드가 생기기전 유튜버는 '기타 자영업' 등의 코드로 소득을 신고해 이들의 소득을 따로 파악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국세청은 유튜버와 BJ 등 인터넷·모바일 기반 미디어 플랫폼 환경에서 영상콘텐츠를 제작해 수익을 올리는 신종사업자의 소득을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2019년 9월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과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 업종코드를 신설했다.

업종코드 신설 후 첫 종합소득 신고(2020년 5월)에서 유튜버를 포함한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자 수입 상위 1%에 해당하는 27명의 수입금액은 181억2500만 원으로, 1인당 평균 6억7100만 원으로 나타났다.

상위 10%에 속하는 277명의 1인당 평균 수입금액은 2억1600만 원 수준이다.

하위 50% 수입금액은 총 15억 원으로, 1인당 평균 108만 원가량이며, 하위 33%에 해당하는 917명의 평균 수입금액은 연간 100만 원에도 미치지 못했다.

한편, 양경숙 의원은 "과세코드가 신설됐지만, 여전히 유튜버 개인이 자진신고를 하지 않으면 과세 당국이 수익을 파악하기 어려운 구조"라며 "자진신고를 철저하게 유도하고 소득세 탈세가 이뤄지지 않도록 국세청이 철저하게 관리·감독을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