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인권이사회, 미얀마 군부 규탄 결의안 채택…“책임 물어야”

입력 2021-02-13 13:1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중국ㆍ러시아는 회의 자체에 반대

▲유엔 인권이사회 회의가 열리고 있다. (뉴시스)

유엔 인권이사회가 미얀마 군부의 쿠데타를 규탄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47개 이사국은 12일(현지시간) 유엔 제네바 사무소에서 열린 특별 회의에서 자의적으로 구금된 모든 사람을 즉각적으로, 조건 없이 석방하고 투표로 선출된 정부의 복구를 촉구하는 내용을 당은 결의안을 컨센서스(의견일치)로 채택했다.

결의안 채택에 앞서 나다 알-나시프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 부대표는 “군부의 권력 장악은 미얀마가 어렵게 얻어낸 민주주의로의 이행에 심각한 차질을 빚은 것”이라며 “(쿠데타 이후) 정치인과 시민운동가, 언론인, 승려, 학생 등 350명 이상이 구금됐다. 대부분은 적법한 절차를 밟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세계가 지켜보고 있다. 분명히 말해두겠지만, 평화적인 시위자들에 대한 무차별적인 살상 무기 사용은 용납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결의안을 제출한 유럽연합(EU) 측은 “불법적인 권력 장악은 미얀마 역사의 시계를 갑자기 되돌렸다”고 했고, 최근 인권이사회 복귀를 선언한 미국은 “제재를 포함해 쿠데타 관련 인물들에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특별 회의에서는 쿠데타 이후 군부가 저지른 광범위한 인권 침해를 조사해 줄 것을 촉구하는 미얀마 의원 약 300명의 서한도 공개됐다.

하지만, 미얀마 군부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중국과 러시아는 회의 자체를 반대한다고 밝혔다. 중국은 “미얀마에서 일어난 일은 본질적으로 미얀마 내정에 관한 것”이라 했고, 러시아는 “미얀마 사태에 대해 과장된 주장을 펴려는 시도는 중단돼야 한다”고 했다.

1일 미얀마 군부는 총선에서 심각한 부정행위가 벌어졌지만, 정부가 이를 제대로 조사하지 않았다면서 아웅산 수치 고문을 가두고 정권을 잡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