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취약계층 학생들, 'AI 튜터'에게 맞춤형 학습 지원받는다

입력 2021-02-09 11:5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서울시교육청, AI 미래교육 중장기 계획 발표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제공=서울시교육청)

앞으로 서울 초·중·고 취약 계층 학생들은 인공지능(AI) 튜터(개인지도교사)에게 학습지원을 받을 수 있을 전망이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9일 오전 10시 서울시교육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 같은 내용의 'AI 기반 융합 혁신미래교육 5개년 발전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올해부터 2025년까지 서울 학교 현장에서 교육과정, 수업, 평가, 학교, 환경 전 과정에 걸쳐 AI를 활용해 학생 개개인에게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사회 취약계층 학생에게는 학습자의 수준과 특성에 맞는 자료를 지원하는 시스템인 ‘AI 튜터’를 제공한다.

교육청은 먼저 탈북학생 대안학교, 다문화 특별학급 운영 학교 중 20개교를 선정해 AI 튜터를 시범 운영하는 ‘마중물 학교’를 운영한다. 추가경정(추경)예산을 편성해 올해부터 20개교에 총 1억 원씩을 2025년까지 5년간 매년 투입할 계획이다.

‘AI 튜터’ 기술은 우수한 기술을 가진 민간 에듀테크 업체가 제작한 것도 학교에 도입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검토할 방침이다.

일반 학생들도 수년 내에 AI가 제공하는 기초학력 진단, 맞춤형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추진한다.

교육청 관계자는 "AI 튜터는 시범사업으로 이번에 취약계층에게 우선 적용한 판단 결과를 바탕으로 수년 내에 일반 학생들에도 확대 적용해 일반화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일반 학생들도 AI가 제공하는 맞춤형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추진한다.

AI가 학생의 학습 상태를 파악하려면 먼저 학교급, 학년, 과목·영역별 학습 데이터가 있어야 한다. 중간·기말고사 등 지필평가 대신 학생의 문제해결 과정을 기록하고 평가한 ‘과정중심평가’ 결과를 학교에서 자체 데이터베이스(DB)로 구축하도록 한다.

서울시교육청은 AI를 가르칠 수 있는 교원 역량도 기른다.

먼저 초·중·고교 교사 1000명을 교육대학원에서 AI 융합교육을 이수하도록 하고 학비 절반을 지원한다. 신규 임용교사는 물론 1급 정교사, 교장·교감 연수에도 AI 관련 교과를 의무 편성한다. 이를 지원하는 강사 역할을 할 선도교사 200명을 구성하고 학교당 1명의 AI 퍼실리테이터(독려자, Facilitator) 교사를 양성한다.

나만의 1인 1 스마트기기 갖기 운동도 펼친다. 이를 위해 저소득층 학생 스마트기기 무상지원 사업, 교육부 연계 학생용 스마트기기 보급 사업과 연계할 방침이다. 또 각종 교수·학습자료와 AI 교구 구입비로 학교당 200만 원을 지원한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이번 중장기계획을 시작으로 교직원들이 교육의 본질에 충실히 매진하도록 지원하고, 미래핵심역량을 길러낼 교육여건을 마련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