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박경표 교수, 2월 과학기술인상 선정

입력 2021-02-03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방사선 피폭 시 활성산소 제거하는 방사선 보호제 개발

▲서울대학교 박경표 교수. (사진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

올해 2월 과학기술인상에 서울대학교 박경표 교수가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연구재단과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2월 수상자로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박경표 교수를 선정했다고 3일 밝혔다.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은 매월 1명씩 선정해 과기정통부 장관상과 상금 1000만 원을 수여한다.

과기정통부와 연구재단은 박 교수가 고선량 방사선으로부터 전신을 보호하는 나노입자 보호제를 개발해 국민 건강 증진과 기초의과학 발전에 이바지한 공로를 높게 평가했다고 밝혔다.

방사선은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지만 피폭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다. 기준치 이상의 방사선을 쬐면 세포 내 물 분자가 분해되며 과량의 활성산소를 생성한다. 활성산소는 세포 내 소기관들을 산화시켜 기능을 상실케 하고, 심한 경우 죽음에 이르게 한다. 활성산소를 빠르게 제거해 체내 손상을 줄이는 방사선 보호제 중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은 제품은 아미포스틴이 유일하지만, 방사선 치료 시 타액선 보호용으로만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부작용으로 다른 용도로 활용하기 어렵다.

박 교수는 전신에 사용 가능한 방사선 보호제 개발을 위해 활성산소 제거 효과가 뛰어난 세륨-망간 산화물에 주목하고, 체내 독성 및 안정성 문제를 해결할 새로운 형태의 나노입자를 제작했다. 또 사람의 줄기세포로 만든 인공장기를 이용한 유전자분석을 통해 세륨-망간 산화물 나노입자의 방사선 보호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실험용 쥐에 아미포스틴 권장 투약량의 360분의 1에 불과한 극소량의 나노입자를 투약한 결과 방사선으로 인한 DNA 손상, 세포자살, 스트레스 등의 부작용이 획기적으로 개선되고, 세포 재생 관련 유전자 발현도 증가했다. 연구결과는 2020년 8월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스(Advanced Materials)에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는 의학뿐 아니라, 산업, 군사적 분야에서 방사선 피폭으로부터 광범위하게 인체를 보호할 수 있는 방사선 보호제 개발의 단초를 마련한 데 의의가 있다”라며 “후속연구를 통해 세륨-망간 산화물 나노입자가 방사선 보호제 외에도, 다양하게 인체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