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MC보다 영업이익은 3조 원 적어… 올해 D램 가격 상승 기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미·중 무역 분쟁 등 글로벌 불확실성 속에서 삼성전자 반도체도 상당히 선전했지만, 인텔과 TSMC에는 미치지 못했다.
2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달 8일 잠정 실적을 공개한 삼성전자의 지난해 반도체 부문의 연간 매출은 총 73조 원, 영업이익은 19조 원 정도로 추정된다.
28일 공개될 확정 실적을 봐야겠지만 2019년(매출 64조9000억 원, 영업이익 14조 원)보다 개선된 실적이다.
지난해 전반적으로 코로나19로 인한 재택근무, 원격수업, 화상회의 등 언택트(비대면) 수요로 반도체 기업들이 선전한 결과다.
그러나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삼성전자와 경쟁하는 인텔과 TSMC는 삼성보다 수익이 더 높았다.
지난 21일(현지시간) 실적을 공개한 인텔은 지난해 연간 매출이 약 779억 달러(약 86조1000억 원), 영업이익이 약 237억 달러(26조2000억 원)에 달했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글로벌 반도체 기업 중 가장 높다.
이는 삼성전자보다 매출은 13조 원, 영업이익은 7조 원가량 많은 것이다. 지난해 인텔은 사상 최고 매출을 기록했다.
주력이 중앙처리장치(CPU)인 인텔은 기업용 데이터센터 부문의 매출이 전년 대비 16% 감소했음에도 코로나로 인한 노트북ㆍPC 수요가 33%나 증가하면서 역대급 매출을 올렸다.
지난 14일 확정 실적을 공개한 대만의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업 TSMC는 작년 매출이 1조3393억 대만달러(약 52조9000억 원), 영업이익은 5665억 대만달러(약 22조4000억 원)로 집계됐다.
매출은 삼성전자 반도체보다 20조 원 이상 낮지만 영업이익은 3조 원가량 많다.
지난해 인텔과 TSMC의 선전으로 삼성전자는 글로벌 반도체 기업 가운데 매출은 2위, 영업이익은 3위로 밀렸다.
삼성은 메모리 반도체 슈퍼 호황기이던 2017∼2018년에 매출과 영업이익에서 모두 글로벌 1위 자리에 올랐지만 그때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인텔에 이어 2위 차지를 지켰다.
TSMC는 2019년부터 세계 파운드리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무섭게 치고 올라왔다.
삼성전자와 TSMC의 가장 큰 격차는 영업이익률이다. 파운드리 전문업체 TSMC의 지난해 영업이익률은 무려 42.3%에 달한다. 작년 하반기 미국의 제재로 대형 고객인 중국 화웨이를 잃었음에도 파운드리 공급 부족 사태로 40%가 넘는 영업이익을 냈다.
2017∼2019년 이 회사의 영업이익률은 37.2∼39.4%였다. 이에 비해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의 지난해 영업이익률은 평균 26% 정도로 추정된다. 1위 인텔은 30.4%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
종합반도체회사(IDM)인 삼성전자는 주력인 D램,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반도체뿐만 아니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등 시스템 반도체와 파운드리까지 분야별로 영업이익률 격차가 크다.
증권가는 삼성전자의 D램은 영업이익률이 40%로 높지만 낸드는 20%선, 비메모리 부문은 10%선에 그치는 것으로 추정한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대부분의 반도체 분야를 포트폴리오로 갖춘 삼성전자는 어느 한 부분이 호황일 때 다른 부분을 메울 수 있다는 장점도 있지만, 반면 약한 부분이 강한 부분의 영업이익률을 갉아먹을 수도 있다는 점은 약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