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 배후단지에 해양바이오 특화단지 지정 추진

입력 2021-01-14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글로벌 해양바이오시장 선점전략 발표

▲권역별 해양바이오 특성화 거점. (해양수산부)
해양바이오 연구혁신추진단 출범
항노화 천연물 신약 개발 추진

정부가 2025년까지 인천항 배후단지에 해양바이오 특화단지 지정을 추진한다. 충남 서천에는 해양바이오 산업화 인큐베이터, 전남 완도에는 해조류 바이오소재 GMP 생산시설을 조성한다. 이를 통해 해양바이오를 국가 성장동력으로 키운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14일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글로벌 해양바이오시장 선점전략(해양바이오산업 활성화 기본 계획(2021~2030))을 발표했다.

세계바이오 시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진단장비·시약 등 헬스케어 수요 확대로 연평균 7.4% 성장해 2024년에 6433억 달러(약 700조 원)에 달할 전망이다. 또 바이오 신약은 지난해 기준 400건이 FDA 승인을 받는 등 활발히 연구 중이다.

하지만 아직 해양바이오는 시장 형성 초기 단계로 해양소재를 이용한 신약은 7건에 불과하다. 이에 신기술 선점을 위해서는 개발 초기 단계인 해양바이오에 투자가 필요한 상황이다. 또 저차가공 중심의 수산업을 고부가가치화하고 환경오염 등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으로 해양바이오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국내 해양바이오시장 규모는 5347억 원으로 390개 기업이 있지만 대부분 50인 미만 사업장으로 영세한 실정이다.

이번 전략을 보면 우선 권역별로 해양바이오 특성화 거점을 마련한다. 인천항 배후단지에 2025년까지 해양바이오 특화단지를 지정, 송도바이오클러스터(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입지)와 연계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해양생명자원 책임기관인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이 있는 충남 서천에는 2023년까지 해양바이오 산업화 인큐베이터를 설립한다. 전남 완도에는 2023년까지 해조류 바이오소재 GMP 생산시설 조성하고 해조류 기반 바이오소재에 특화된 전임상 지원설비와 스타트업 센터도 구축한다.

연구개발(R&D) 혁신을 위해 해양바이오 산학연 협의회, 해양바이오학회, 한국바이오협회가 참여하는 해양바이오 연구혁신추진단(가칭)을 구축, R&D 기획 단계부터 기업 등 수요자 참여를 확대하고 우수기술의 사업화 연계를 강화한다.

특히 크릴(관절 건강), 미세조류(눈 건강, 면역 강화), 연어(위장 건강), 굴(운동능력) 등을 활용한 웰에이징ㆍ항노화 소재 및 천연물 신약 개발도 나선다.

아울러 올해부터 해양생물자원 확보를 위한 전용 조사선 건조에 착수하고 해양바이오뱅크를 통한 1000종 이상의 해양생물 정보 기업 제공,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주요 성분의 대량생산 기술 개발 등을 추진한다.

정부는 이번 전략으로 2030년까지 국내 시장 규모를 1조2000억 원으로 확대하고 원재료 수입의존도를 70%에서 50%로, 인허가 기간을 6.5년에서 4년 이하로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은 “이번 대책을 근간으로 삼아 해양바이오산업이 새로운 국가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적극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