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타이어 업계 OE 판매 비중 매년 감소…완성차 업계, 최근 중형급 차종에도 외국산 타이어 사용
타이어 업계가 국내 완성차 제조사가 생산하는 자동차에 국산 타이어가 많이 사용될 수 있도록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정부에 건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대한타이어산업협회는 지난달 말 산업통상자원부에 "국산 중대형 고급승용차 출고 시 국산 타이어 장착 기회를 제공해 소비자 후생이 증대되도록 지원해달라"는 내용을 담은 공문을 보냈다.
외국산 타이어의 국내 판매 비중은 2016년 8.2%에서 2019년 18.1%로 매년 증가했다. 반면, 국산 타이어 업계가 완성차 업체에 공급하는 신차용 타이어 판매(OE) 비중은 2017년 32.8%에서 지난해 1∼10월 기준 23.6%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관련 뉴스
협회는 최근 들어 국산 고급승용차가 외국산 타이어를 전량 장착하는 경우가 늘어난 점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일부 고급브랜드 대형 차종에만 장착되던 외국산 타이어는 2019년부터 출시된 현대차 쏘나타, 기아차 K5 등 중형 이상급 차량 대부분에 장착됐다. 지난해 말 출시된 제네시스 GV70에도 전량 외국산 타이어가 장착됐다.
협회는 "외국산 타이어는 국내산 동급 타이어보다 최소 30% 이상 비싸고 애프터서비스(AS)도 불편해 소비자 불만이 증가하고 있다"라며 "고급 중대형 승용차에 외국산 타이어와 국산 타이어를 모두 채택해 소비자의 선택권을 부여하는 방안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이 같은 내용을 반영해달라는 공문을 최근 완성차 업계에 보낸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