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주 물량 급감하는데…서울 연초부터 전월세 물량 '뚝'

입력 2021-01-04 11:31수정 2021-01-04 12:5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서울 아파트 전세 물건 이날 기준 1만6837가구...작년 말 대비 2% 감소

▲서울 아파트 전세물건이 연초부터 감소세를 보이면서 임차시장이 불안해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사진은 서울 영등포구 63스퀘어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아파트 단지 밀집 지역 모습. 고이란 기자 photoeran@ (이투데이DB)

서울 아파트 전세 물건이 연초부터 감소세를 보이면서 임대차시장이 불안해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4일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아파트 실거래가)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세 물건은 이날 기준 1만6837가구로 작년 말(1만7173가구)보다 1.9% 줄었다.

겨울철 이사 비수기와 함께 전셋값 급등으로 일부 수요가 매매로 돌아서면서 지난해 말 일시적으로 늘었던 전세 물건이 다시 감소세로 전환한 것이다.

구별로 보면 중랑구(-10.9%)의 감소폭이 가장 컸다. 이어 중구(-7.2%), 금천구(-6.7%), 강서구(-4.3%), 노원구(-3.9%), 영등포구(-3.7%), 도봉구(-3.5%), 동대문구(-3.4%), 종로구(-3.3%), 구로·서대문구(-3.1%) 등이 뒤를 이었다.

월세 물건은 전세보다 더 큰 감소폭을 보였다. 지난해 마지막 날 1만3436가구였던 월세 물건은 이날 1만2991가구로 3.3% 줄었다. 월세 물건 역시 중랑구(-7.1%)에서 가장 많이 줄었고, 이어 중구(-6.2%), 노원구(-5.7%), 서대문·종로구(-5.3%), 관악구(-4.9%) 등의 순으로 감소했다.

서울은 올해 입주 예정 아파트가 큰 폭으로 줄어들 전망이어서 연초 전월세 물건 감소는 임대차 시장의 불안 심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서울의 올해 입주 예정 아파트는 모두 2만6940가구로 지난해(4만8758가구)보다 45%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국적으로는 26.5%, 경기는 22.1% 줄어든다.

전·월세 시장의 안정 여부는 새 아파트 입주 물량이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한다. 장재현 리얼투데이 리서치팀장은 "새 임대차법(전월세 상한제·계약갱신청구권) 시행으로 인한 전세 물량 부족과 청약 대기수요 증가, 서울 입주물량 급감으로 전·월세 시장이 안정되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