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대학 기숙사 병상 활용, 사후 대책까지 책임져야

입력 2020-12-18 0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무서운 속도로 확산하자 병상 부족 사태 해결의 일환으로 대학 기숙사가 조명을 받고 있다.

서울시, 경기도는 기숙사를 생활치료센터로 활용할 수 있도록 대학에 SOS를 보냈다. 교육부도 발 빠르게 맞장구를 쳤다. 지자체가 요청하면 전국 대학 기숙사를 생활치료센터로 활용하는 방안을 지원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최근 수도권 대학부터 적극적으로 지원해달라며 협조 공문을 보냈다.

그러나 학생들은 갑작스럽게 기숙사를 비우라는 통보에 반발하고 있다. 기숙사를 생활치료센터로 제공하기로 한 경기대의 커뮤니티 익명 게시판에서는 “방학기간 입사(入舍) 신청을 했는데 미리 동의를 구하지 않고 갑자기 나가라고 하면 기차표도 못 구한 지방 학생들은 어떻게 하냐”고 항의했다. 게시판에는 비슷한 내용의 항의글과 댓글이 줄지어 올라왔다.

학생들을 설득하는 과정이 순탄치 않을 것이라는 점은 어느 정도 예상됐다. 공문을 받아 든 대학 관계자들은 “확진자가 쓰던 기숙사를 다시 사용해야 하는데 구성원들의 설득이 만만치 않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교육기관 내 병상 확보는 우선순위를 잘못 고려한 정책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공공기관의 연수원이나 체육관, 현재 이용하지 않는 기업들의 연수원부터 활용해야 한다는 얘기다. 대학가에서는 “대학 기숙사는 주변에 학생들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와 완전히 분리되지 않아 통제가 쉽지 않다”는 비판이 나온다.

대학들은 기숙사가 생활치료센터로 지정이 되면 “그 이후가 더 문제”라고 입을 모은다.

그러나 교육부는 사후 대책에 뒷짐만 지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기숙사가 생활치료센터로 지정되면 구성원들과 합의, 남아 있는 기숙사 학생들을 어떻게 할 건지가 가장 큰 문제이기 때문에 대학 측이 충분히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코로나19 확진자가 연일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엄중한 상황에 긴급하게 결정된 정책일수록 무거운 책임이 뒤따라야 한다. 필요할 때만 찾다가 이후에는 알아서 하라는 식의 태도는 책임 있는 자세가 아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