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올해 나노ㆍ소재 R&D 기업매출 760억…내년 2879억 투자

입력 2020-12-15 15:3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021년도 나노 및 소재 분야 원천기술개발사업 지원계획. (사진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올해 나노와 소재 분야 연구개발(R&D)을 통해 760억 원의 기업 매출을 창출했다. 올해는 관련 기술 개발에 예산을 증액한다.

과기정통부는 2879억 원 규모의 ‘2021년도 과기정통부 나노 및 소재 기술개발사업 시행계획’을 확정하고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15일 밝혔다. 과기정통부의 소재ㆍ부품ㆍ장비 지원예산 4173억 원 중 약 70%에 해당하며, 전년 대비 약 25%가 증가한 규모다.

과기정통부는 체계적인 사업 관리와 연구현장의 편의성 및 예측 가능성 제고를 위해 유사한 성격을 가진 과제들을 묶어 △미래기술(1020억 원) △핵심기술(832억 원) △사업화(30억 원) △팹 고도화(643억 원) △연구혁신(352억 원)으로 유형화하고 맞춤 지원한다.

미래기술에서는 8nm 이하 초미세 반도체 공정용 무기 포토레지스트, 맥신(타이타늄과 탄소가 층층이 쌓인 2차원 나노물질) 기반 고성능 전극소재 등 혁신적ㆍ도전적 연구주제 및 미래선도품목 개발을 위한 ‘미래기술 연구실’을 확대한다. 나노융합기술이 산업적으로 구현 가능한지 검증하는 과제를 새롭게 지원하며, 코로나19 확산 등을 고려해 바이오융합 분야를 우선 지원한다.

핵심기술에서는 소재ㆍ부품ㆍ장비 핵심품목(100+85개)과 연계를 바탕으로 산ㆍ학ㆍ연이 한 팀(기업 필수참여)이 돼 원천기술 기반형 응용연구를 수행하는 ‘국가핵심소재 연구단’을 확대 선정(올해 32개→내년 57개)하고, 이어달리기, 함께달리기 등 부처협업을 강화한다. 또 소재와 공정, 시스템을 통합 지원해 완성도 있는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연구 기간 내 기술이전을 완료하는 유형으로 2021년 15개 연구단을 추가 선정한다.

이밖에 나노ㆍ소재 원천기술을 이전받은 기업의 사업화 모델 개발과 초기시장 진입 지원 사업에 30억 원을 투자하고 나노 인프라 고도화에 643억 원을 투자한다. ‘디지털뉴딜’과 연계한 ‘소재 연구데이터 수집ㆍ공유 플랫폼’ 구축을 지속 지원하면서, 축적된 연구 데이터의 활용을 위한 탐색ㆍ설계, 공정개발, 측정·분석 등 특화 서비스 개발에도 신규 착수한다.

또 R&D 예산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관계기관 전문성을 활용한 예비기획 신설, 가(假)선정제도 확대 운영, 평가 시 극히불량과제 판단을 통한 연구윤리 강화 등 적극행정도 추진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