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임시선박 매월 2척 이상 투입…물량 늘린 선사에 인센티브

입력 2020-12-09 18: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중기 화주 배정 물량 350TEU 내년 1월까지 연장

▲HMM 상트페테르부르크호가 남중국 옌톈항을 만선 출항하고 있다. (사진제공=HMM)
정부가 해상운임 급등과 선박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수출 기업들을 위해 선박 추가 투입과 선사 인센티브 지급 등 추가 대책을 내놨다.

박준영 해양수산부 차관은 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통해 물동량이 급등한 미주항로를 중심으로 국적선사의 임시선박을 매월 2척 이상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해수부는 이미 지난달부터 물동량이 급증한 미주항로를 중심으로 추가 선박을 투입하고 있는데 이를 더 확대해 매월 최소 2척을 더 투입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이번 달 미주항로에는 HMM의 4500∼5000TEU(1TEU는 20피트 길이 컨테이너 1개)급 선박 2척과 SM상선의 3000TEU급 선박 1척이 투입된다. 동남아항로에는 고려해운이 2800TEU급 선박 1척을 투입한다. 내년 상반기에는 HMM에서 1만6000TEU급 선박 8척을 추가로 투입한다.

또 올해 12월까지 중소기업 화주에 배정된 물량 350TEU를 내년 1월까지로 연장하고 필요하면 추가로 연장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아울러 이달부터 내년 2월까지 미주·동남아 수출물량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10% 이상 증가한 선사에 인센티브도 지급한다. TEU당 2만원 내외의 보조금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총 29억 원 규모의 인센티브를 줄 예정이다.

해수부는 중장기적으로 HMM의 선복량(배에 싣는 화물 총량) 확대를 위해 2025년까지 약 25만TEU 규모의 선복량을 추가로 확보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약 5조 원의 신규투자를 통해 선박 33척을 새로 건조할 예정이다.

또 한국해양진흥공사의 사업에 운용리스를 추가해 2025년까지 선박 50척을 운용하면서 국적 선주사가 국적선사에 합리적 가격으로 용선해주는 체계를 추진키로 했다.

박 차관은 "세계시장을 무대로 하는 해운업의 특성상 운임 역시 글로벌 수요‧공급에 따라 결정되며, 국적선사는 시장 점유율이 낮아 운임을 강제 조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