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정부 "금융사 건전성 저하 가능성, 손실 흡수 여력 보강 유도"

입력 2020-11-24 08:3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불확실성 커져"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 (사진제공=기획재정부)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24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이 장기화될 경우차주들의 채무상환능력 악화로 금융회사 건전성이 저하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선제적인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금융회사 스스로가 손실을 흡수할 수 있는 여력을 보강하도록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김용범 차관은 이날 산업은행에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주재하며 "금융시장 안정세에도 불구하고 금융회사의 건전성은 보다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차관은 "국내 금융시장은 미국 대선 이후 美 추가 경기부양책 기대, 코로나19 백신 임상 성공 소식, 국내기업의 실적 개선 기대 등에 힘입어 외국인들의 국내주식 순매수가 지속되면서 코스피는 어제 2602포인트를 기록하며 2년 10개월만에 사상 최고점을 경신했다"고 밝혔다.

이어 "기업 자금조달 여건도 비교적 양호하다"며 "단기자금시장은 연말 자금수요로 CP·단기사채 발행량이 증가한 가운데 CP금리(최종호가수익률) 역시 안정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차관은 또 "9월말 국내은행 대출 연체율은 0.3%로 2007년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으며 저축은행 대출 연체율은 3.8%로 작년말 대비 0.1%p 상승하는데 그치는 등 아직 양호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그는 "우리 실물경제는 아직까지 비교적 양호한 모습이나 최근 국내외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수출은 10월에 코로나19 사태 이후 처음으로 일평균 수출이 증가 전환된 이후 11월에도 20일까지 개선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소비자심리지수(CSI)도 지난달에 이어 2개월 연속 큰 폭 상승하며 코로나19 이전 수준에 근접하는 모습이다.

김 차관은 "다만 최근 주요국의 봉쇄조치 강화 등으로 향후 수출 여건은 여전히 안심할 수 없다"며 "향후 국내 코로나19 확산세가 심화될 경우 소비심리가 다시 위축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 차관은 "경기회복을 위한 경제 활력 제고방안을 비롯해 코로나19 이후 경제·사회 구조변화에 대비한 선제적 대응방안을 2021년 경제정책방향에 충실히 담아내겠다"며 "‘2050 탄소중립 목표’ 하에 그린 뉴딜의 차질없는 추진으로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도 공고히 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