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가 저승사자' 카우프만 전 상원의원, 바이든 인수위원장으로 복귀…미국 대형 은행들 '긴장'

입력 2020-11-12 10:1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대형 은행 규제 강화 주장
바이든과는 72년부터 알고 지낸 ‘오래된 친구’
인수위원장 맡아 주요 인사에 발언권 얻어

▲테드 카우프만 전 상원 의원. 출처 테드 카우프만 공식 홈페이지
10년 전 도드-프랭크법을 중심으로 금융회사 규제 강화를 주장한 '월가 저승사자' 차기 미국 정권 인수위원장으로 돌아왔다. 다시 한번 대형 은행들을 견제하고 압박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1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테드 카우프만 전 상원의원은 조 바이든 당선인으로부터 인수위원장직을 부여받았다.

카우프만 위원장은 1972년 바이든 당선인의 상원의원 선거 당시 유세 활동을 한 것이 인연이 돼 이후 보좌관과 참모장 등을 거쳤다. 또 바이든 당선인이 부통령으로 취임하면서 공석이 된 델라웨어주 상원의원직을 2009년부터 2년간 맡기도 했다. 인수위 활동 완료 후 공직을 얻지 못하더라도 ‘바이든의 귀’가 될 거라는 얘기가 나오는 이유다.

대형 은행들이 카우프만의 임명에 초조해진 이유는 그가 상원의원 재직 당시 대출 기관들의 규제 강화를 주장해오던 인물이기 때문이다. 그는 2010년 5월 다우지수가 몇 분 새 폭락했던 이른바 ‘플래시 크래시’ 당시 주요 원인으로 꼽힌 극초단타매매를 강력하게 비판하며 월가에 책임을 물었던 것으로 유명하다.

또 같은 해 7월 민주당은 글로벌 금융위기 재연을 막고자 은행 규제를 강화하는 ‘도드-프랭크’ 법을 제정했는데, 당시 카우프만은 은행이 국가 예금의 10% 이상을 보유하는 것을 금지하는 개정안을 발의하기도 했다. 개정안이 통과됐다면 대형 은행들의 해체 작업으로 이어졌을 것이라는 게 시장의 주된 평가다.

도드-프랭크법은 월스트리트 개혁 및 소비자 보호를 목적으로 △대형 은행들의 파생상품 거래 금지 △금융지주사 감독 강화 △스와프 거래 규제 강화 등의 내용을 담고 있으며 현재까지 개정 방향을 놓고 양 당이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당시 카우프만과 공동 발의를 했던 셰로드 브라운 전 오하이오주 의원은 “우린 금융 위기 당시 은행들은 엄청난 도움을 받은 반면, 노동자들은 그러지 못한 것을 확인했다”며 “카우프만은 나라 경제를 공정하게 만드는 데 관심이 많은 인물”이라고 설명했다.

상원의원에서 내려온 이후에도 그는 증권거래위원회(SEC) 자문직을 맡아 미국 주식시장에서의 주식 자동매매에 대해 감독 강화를 압박하는 등 꾸준히 규제 강화 스탠스를 유지했다.

이제 인수위원회를 이끌게 된 그는 미국 소비자금융보호국(CFPB)과 SEC를 비롯한 정부 전반의 임명권에 대해 발언할 기회를 얻게 됐다. 과거 골드만삭스 등에서 근무했던 임원을 정부 고위직에 앉히는 인사 정책을 비판했던 만큼 대형 향후 금융사들과의 거리 두기는 기정사실로 되고 있다.

다만 공화당이 상원을 장악할 경우 카우프만이 금융 당국자 자리에 진보 후보자를 추천하는 게 쉽진 않을 것이라고 WSJ는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