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폰 5G 서비스, 200GB 5만 원 초반 상품 나올까…도매대가 인하

입력 2020-11-03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알뜰폰 도매대가 인하. (사진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부가 5G(5세대) 이동통신의 도매대가를 인하하면서 데이터로 200GB(기가바이트)를 제공하는 5만 원대 초반의 알뜰폰 5G 상품이 나올지 이목이 쏠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알뜰폰 사업자가 이용자에게 이통3사 대비 최대 30% 이상 저렴한 요금제를 제공할 수 있는 경쟁력의 근간인 도매대가를 인하한다고 3일 밝혔다.

SK텔레콤의 5G 이동통신 요금제와 이용자 수요가 높은 롱텀에볼루션(LTE) T플랜과 밴드데이터 요금제의 수익배분 방식 도매대가를 낮춘다. 알뜰폰 사업자가 이통사의 특정 정액요금제를 그대로 재판매하는 경우, 해당 요금제 가격의 일정 비율을 이통사에 도매대가로 내는 방식이다.

이와 관련 ‘9GB+1Mbps’와 ‘200GB+5Mbps’ 상품의 도매대가율을 66%(3만6300원)→62%(3만4100원) 75%(5만6250원)→68%(5만1000원)로 각각 낮춘다. 3만 원 중반대 9GB 5세대(5G) 이동통신 요금제 출시가 가능해졌으며, 5만 원 초반대의 200GB 요금제 출시도 기대한다.

아울러 LTE 주력 요금제인 T플랜과 밴드데이터의 대가를 0.5%~2%포인트 낮춰 요금 인하 여력을 확보했다. 일례로 ‘4GB+1Mbps’, ‘100GB+5Mbps’의 도매대가율을 52.5%(2만6250원)→51.5%(2만5750원), 62.5%(4만3125원)→62%(4만2780원)로 각각 조정했다.

과기정통부는 저가 요금상품에 주로 적용되는 종량제(음성, 데이터, 단문 메시지 사용량만큼 도매대가를 납부) 도매대가를 음성 18.43→10.61원/분, 데이터 2.95→2.28원/MB로 낮추고, 가입자가 실제로 사용하지 않아도 이통사에 지불해야 하는 최소사용료는 월 1600원에서 1500원으로 100원을 줄인다.

이밖에 최근 데이터 중심 이용환경과 완성차, 무선사물인터넷(IoT) 등 분야에서 늘어나고 있는 데이터 전용 알뜰폰 사업자 기반을 지원하기 위해 데이터를 다량으로 구매하면 도매대가를 추가로 할인하는 다량구매할인제를 도입한다. SKT는 알뜰폰 사업자가 이용한 데이터양에 따라 최소 0.8%에서 최대 13%까지 할인을 내년 초부터 제공해 6개 사업자가 적용하며, 향후 이를 통해 다양한 조합의 요금제가 나올 것으로 예상한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대가 인하로 현재도 다양한 저가 요금제를 출시하고 있는 알뜰폰이 더 많은 사용량을 제공하면서도 저렴한 요금제를 출시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용자 선택권 확대와 가계통신비 부담 경감으로 이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