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 “병원ㆍ복지시설 등 집단감염 억제해야”

입력 2020-10-17 16:1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부산 해뜨락요양병원 직원 9명과 환자 43명이 14일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방역당국은 해당 요양병원에 대해 코호트 격리 조처했다. (연합뉴스)

방역당국이 요양병원과 재활병원 등 고위험시설의 집단감염이 잇따르자 경각심을 늦출 수 없는 상황이라며 지속적인 주의를 당부했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부본부장은 17일 충북 오송 질병관리청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생은 두 자릿수로 유지되고 있으나 최근 부산과 경기 광주의 요양병원, 의정부 재활병원 등 특정한 지역과 시설에서 집중 발생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며 “(이런 사례들이 신규 확진자) 전체 발생 규모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여전히 긴장감과 경각심을 늦출 수 없고 집단발생과 고위험군의 감염을 계속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요양ㆍ재활병원의 집단감염이 잇따라 발생하자 정부는 우선 수도권 소재 노인병원, 정신병원, 노인주간보호시설 종사자와 이용자 16만 명에 대한 전수검사를 다음 주부터 시행하기로 했다.

향후 검사 결과에 따라 수도권 이외 관련 시설로 검사를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권 부본부장은 “병원을 중심으로 한 집단감염을 매우 엄중하게 보고 있다”며 “치명률을 낮추는 것이 방역대책의 맨 앞에 있는데, 그것을 위해서는 감염 연결고리를 조기에 끊어냄으로써 취약계층이 가장 많은 의료기관이나 사회복지시설 등에서의 집단발생을 최대한 억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중간중간 조용한 전파가 이어지다가 종착역에 해당하는 병원을 중심으로 (집단감염이) 발생했다는 점은 방역 당국으로서 매우 아픈 부분”이라며 “해당 시설에 대한 우선적인 조사ㆍ분석ㆍ확인을 통해 취약지점이 무엇이었는지, 또 어떤 연유로 바이러스의 연결고리가 들어가게 됐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신병원, 요양병원, 재활병원 등에 대한 일제검사 등 의료 관련 감염 관리 차원의 대책을 정밀하게 마련해 전국적으로 철저하게 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한편 방대본은 고령층뿐 아니라 유흥시설이나 음식점 등을 고리로 한 젊은층의 감염 가능성에도 우려를 표했다. 이에 개인 방역 수칙을 철저히 지켜 달라고 재차 요청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