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10주년] ① 2020년대 지배할 글로벌 10대 트렌드

입력 2020-10-08 0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인류, 언택트 시대 강제적으로 맞이하게 돼
미중 패권전쟁 등 불안 요소도 상존
AIㆍ로봇 등 4차 산업혁명 기대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노리스타운의 한 가정에서 9월 3일(현지시간) 한 초등학생이 온라인 수업을 받고 있다. 노리스타운/AP뉴시스
꿈과 희망을 안고 출발했던 2020년대의 첫 해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라는 전례 없는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으로 인해 실망과 좌절로 얼룩지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인류는 언택트(Untact·비대면) 시대를 강제적으로 맞이하게 됐고, 인구절벽과 미국·중국 간 패권 전쟁 등 불안 요소도 상존한다. 그러나 인공지능(AI)과 로봇 등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본격적으로 펼쳐지면서 이를 잘 활용하면 좌절이 희망으로 바뀔 것이라는 기대는 꺾이지 않았다. 이투데이가 창간 10주년을 맞아 향후 10년을 좌우할 글로벌 10대 트렌드를 짚어봤다.

코로나 팬데믹이 앞당긴 언택트 시대

‘21세기 흑사병’으로 불릴만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전 세계 기업과 소비자가 순식간에 언택트 시대를 맞이하게 됐다. 구글과 페이스북은 재택근무를 내년 여름까지로 연장했고, 월가 최대 은행 JP모건체이스는 재택과 출근을 번갈아 하는 ‘순환근무제’를 영구적으로 도입하기로 했다. 포드자동차는 3만 명 직원 책상과 사무실 공간을 아예 정리해버렸다. 전자상거래와 음식 배달 등 비대면 사업은 미증유의 코로나발 글로벌 경기침체에도 연일 호황이다. 학교도 등학교가 금지돼 학생들이 온라인 수업을 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 사태 이후에도 언택트 시대가 펼쳐질 것이라며 이에 어떻게 적응할 것인지가 전 세계 기업의 ‘최대 화두’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가장 큰 이유는 역시 코로나19 그 자체다. 영국 면역학계 권위자인 마크 월포트 박사는 “코로나19는 천연두처럼 백신으로 종식될 수 있는 질병이 아니다”라며 “어떤 형태로든 인류와 영원히 함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백신이 나오더라도 인류는 지금과 같은 비대면 사회를 어느 정도 유지해야 한다는 의미다.

두 번째 이유는 전 세계 기업과 소비자가 언택트 산업에 적응하고 그 효율성에 만족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다국적 컨설팅 업체 맥킨지&컴퍼니는 “코로나19로 인해 디지털 상거래로의 소비자 쇼핑습관 변화가 가속화했다”며 “원격진료와 자동화 등에서도 비대면 경제가 부상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 항저우에서 4월 13일 참관객들이 스마트시티 플랫폼이 있는 항저우시티브레인센터를 방문하고 있다. 시티브레인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도시 교통을 제어, 도로정체를 최소화한다. 항저우/신화뉴시스

인공지능(AI) 특이점 열릴까

선구적인 발명가이자 미래학자이며 구글 엔지니어링 이사인 레이 커즈와일은 2005년 자신의 저서 ‘특이점이 온다’를 통해 AI가 인간 지능을 뛰어넘는 ‘특이점(Singularity)’이라는 개념을 창안한 것으로 유명하다. 커즈와일은 오는 2045년에 인간과 AI 지능이 역전되는 특이점이 올 것으로 예상했다.

커즈와일 저서가 나온 이후로 AI 산업은 폭발적으로 발전했으며 전 세계 기업들은 여기에서 새 성장 기회를 찾고 있다. 수천 년 추적된 인간 바둑 역사를 순식간에 바꾼 ‘알파고’에서 볼 수 있듯이 AI 발전은 기하급수적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2020년대에 특이점이 오지 않더라도 이를 향한 의미 있는 기반이 구축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커즈와일은 “2029년까지 컴퓨터는 인간처럼 생각할 수 있고 그 시점에서 컴퓨터는 실제로 인간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인간보다 훨씬 더 잘 수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이점 도래를 앞두고 인간은 AI에 먹히지 않기 위해 새로운 솔루션을 모색하고 있다. 바로 ‘이길 수 없다면 합류하라’ 전략이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자신이 세운 뇌신경과학기업 뉴럴링크를 통해 인간 두뇌와 AI의 직접적인 연결을 추진하고 있다.

▲영국 런던에서 한 스마트폰에 5G 로고가 표시돼 있다. 런던/신화뉴시스

5G 혁명

차세대 이동통신인 5세대(5G) 네트워크는 AI와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 2020년대를 이끌어갈 첨단 혁신 IT 기술의 근간이 될 것이라는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있다.

5G는 기존 네트워크보다 데이터 처리 용량은 100배에 달하고 통신속도는 기존 4G(LTE)보다 20배 이상 빠르다. 이에 단순히 이동통신을 넘어 모든 종류의 기기가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IoT 시대에 필수적인 기술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자율주행차량, 아마존의 알렉사와 같은 음성인식 AI 비서를 탑재한 스마트 스피커, 집의 안전 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 가정 내 온갖 기기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홈, 수술용 로봇의 원격 조정에 이르기까지 2020년대 우리 삶의 모든 측면에 영향을 미치고 더 편리하게 만들 기술을 가능케 하는 것이 바로 5G에 달렸다.

특히 코로나19가 빚어낸 현재 상황은 5G를 더욱 각광받게 하고 있다. 기업들이 재택근무를 할 준비가 100% 돼 있을까. 우리의 통신망이 그렇게 많은 양의 트래픽에 대해 준비가 돼 있는가. 이런 의문에 대한 근본적인 해답이 바로 5G에 있기 때문이다. 세계 최대 통신장비업체 화웨이테크놀로지를 둘러싼 갈등 등 미국과 중국의 기술패권 전쟁에 5G가 있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에서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3월 3일(현지시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긴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치고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워싱턴D.C./AP뉴시스

현대통화이론(MMT) 시대 개막

정부 지출이 세수를 넘으면 안 된다는 주류 경제학의 상식에 반(反)해 경기 활성화와 고용 확대를 위해 정부가 무한정 돈을 찍어낼 수 있다는 MMT는 최근 수년간 경제학계에서 ‘뜨거운 감자’였다.

그러나 그동안 경제학자들로부터 천대받았던 MMT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전면으로 부각됐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국과 유럽, 일본의 대규모 부양책에도 인플레이션이 지지부진한 가운데 전대미문의 팬데믹 사태로 세계 각국이 무차별적으로 돈을 풀면서 MMT가 2020년대 경제학의 최대 화두가 됐다.

3조 달러에 달하는 미국 정부의 초대형 경기부양책, 이를 뒷받침하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무제한 양적완화 등은 사실상 MMT가 통화정책의 주류에 올라섰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코로나19 사태가 끝난 후에도 MMT에 입각한 비전통적인 통화정책이 지속될 전망이다. 이미 팬데믹 이전에도 AI의 발전에 따른 일자리 상실과 빈부격차 확대 등으로 정부가 막대한 돈을 풀어 복지정책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끊임없이 제기됐다. 또 인구 고령화와 생산성 둔화 등으로 전 세계 수요가 앞으로도 살아나지 않을 것이라는 비관론이 커진 가운데 MMT는 이를 극복할 대안으로 여겨지고 있다.

▲유엔 인구 전망. 검은색 선·오른쪽: 전 세계 총인구 추이(단위 10억 명) / 노란색 선·왼쪽: 인구 증가율(%). ※2020년 이후는 예상치. 출처 유엔

인구절벽

2020년대 세계 경제는 바로 인구절벽 현상을 막을 수 있을지에 좌우될 수 있다. 올해 코로나19 팬데믹을 맞아 세계 각국은 부채를 산더미처럼 쌓았다. 공격적으로 돈을 투입해 이번 위기를 넘긴다면 경제 성장엔진이 다시 가동될 것이라는 기대에서다.

이런 낙관적 전망을 위협하는 최대 리스크가 바로 생산연령인구가 급격히 줄어드는 인구절벽이다.

미국 워싱턴대 의대 산하 보건계량분석연구소(IHME)는 7월 저명 국제 학술지 랜싯에 기고한 논문에서 “전 세계 인구가 2064년께 97억 명으로 정점을 찍고 나서 세기 말까지 9% 이상 감소할 것”이라며 “특히 한국과 일본 스페인 포르투갈 태국 등 23개국 인구는 2100년에 현재보다 절반 이상 줄어들고 33개국은 25~50%의 감소 폭을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인구학적 변화가 수십 년에 걸쳐 일어난다는 점을 감안하면 주목해야 할 시기가 바로 2020년대다. 그리고 벌써 좋지 않은 징후가 곳곳에서 보이고 있다. 한국은 올해 6월까지 8개월 연속 인구가 자연 감소했다. 일본은 올해 15~64세의 생산연령인구가 전체 인구의 59.3%로, 3년 연속 60%를 밑도는 것은 물론 사상 최저치를 경신했다.

전문가들은 “생산연령인구 감소만으로도 경제성장률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며 시급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