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금융위기 때와 달리 소비감소가 경기침체 주요인”
경제 성장률 전망치 추가 하향 아닌 범위 내 있다
8~9월 수도권 소상공인 매출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발생했던 2월경보다 더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위기 때와 달리 소비감소가 경기침체를 주도한 때문이다.

2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최근 소비 동향 점검 및 향후 리스크 요인’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 1차 확산기(2월 2주차~3월 3주차) 수도권 소상공인 매출액은 전년 동기 25.2% 감소한 반면, 2차 재확산기(8월 1주차~9월 1주차)엔 31% 줄었다. 다만, 전국으로 범위를 넓히면 2차 확산기(-24.9%) 감소폭이 1차 확산기(-28.9) 보다는 작은 것으로 집계됐다.
김웅 한은 조사국장은 “자영업자의 약 41%가 수도권에 집중해 있다”며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를 실시한 이후인 9월 들어 매출이 크게 줄었다”고 설명했다.
관련 뉴스
전체 소비는 1차 확산기에 비해 감소폭이 줄었다. 일례로 카드사용액의 경우 1차 확산기에 전년 동기 대비 15.6% 감소한 반면, 2차 확산기엔 8.7% 감소하는 데 그쳤다.

소비 부문별로는 재화와 서비스 소비에서 회복 속도가 엇갈렸다. 재화의 경우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한 반면, 서비스업은 약 45% 회복에 머물렀다.
우선 재화 소비는 백화점과 숙박음식업과 같은 대면ㆍ대형 소매점 중심으로 감소했지만, 온라인 판매와 편의점 매출액은 상대적으로 양호했다. 이에 1차 확산기 6.8% 감소했던 소비는 2차 확산기엔 0.9% 증가 전환했다.
서비스 소비는 11.2% 감소하며 1차 확산기(-18.1%) 보단 감소폭이 줄었지만, 스포츠ㆍ레저(-41%)와 음식점ㆍ주점(-31.4%) 등 대면서비스의 경우 1차 확산기 수준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외소비의 경우 분기 중 해외여행이 급감함에 따라 그 타격을 고스란히 입었다. 민간소비에 대한 기여도는 1분기 -1.1%포인트에서 2분기 -2.8%포인트로 마이너스폭이 확대됐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민간소비 중 국외소비 비중(3.9%)이 일본(0.6%)과 미국(1.5%) 등 주요국에 비해 높기 때문에 국외소비 감소가 민간소비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컸을 것이라고 한은은 전했다.

한편, 이번 코로나19로 인한 민간소비 감소폭은 GDP 감소폭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김 국장은 “금융위기 등 다른 위기 땐 소비가 경기침체의 완충 역할을 해줬지만 이번 코로나 때는 민간소비 감소폭이 더 크면서 경기 위축을 주도했다”며 “감염병 특성상 락다운(이동제한령)과 사회적 거리두기로 소비가 줄고 경기가 침체되는 악순환이 발생했다”고 말했다.
다만 이 같은 소비 위축이 올해와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각각 -1.3%, 2.8%) 추가 하향의 원인이 될 수 있느냐는 물음엔 “당시 전망에서 사회적 거리두기가 8월 중순부터 40~50일 지속된다고 봤고 지금 그 범위 내에 있다”며 “전망 경로를 하향하는 것이 아닌 그 경로 상에 있으며, 지난 전망 이후 특별히 숫자를 바꿀 만한 지표는 없다고 본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