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막바지 트럼프, 대중국 공세 강화...재선 시 중국과 경제 단절 시사

입력 2020-09-08 13:46수정 2020-09-08 14:3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7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브리핑을 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미국 대선을 향한 초침이 빠르게 돌아가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입이 갈수록 거칠어지고 있다. 2016년 대선 데자뷔로 대중국 공세를 강화하고 나섰는데 이번엔 아예 경제 관계 단절까지 시사하며 수위를 높였다.

7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노동절을 맞아 백악관에서 열린 언론 브리핑에서 중국에 대한 의존을 완전히 끊겠다고 밝혔다. 이미 부과하고 있는 고율 관세에 이어 ‘디커플링(decoupling·탈동조화)’까지 언급했다. 중국과의 경제 관계 단절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은 (중국)때문에 수십억 달러 손해를 보고 있다. 그들과 거래를 하지 않으면 손실을 보지 않을 것”이라면서 “이것을 디커플링이라고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디커플링에 대해 “아주 흥미로운 단어”라고 강조했다.

디커플링은 한 나라 경제가 특정 국가 혹은 세계 전체의 경기 흐름과 다르게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현상을 일컫는 경제 용어로, 전문가들은 두 국가 간 무역 거래의 완전한 중단을 의미하는 말로 사용한다. 트럼프 대통령의 디커플링 발언에 대해 NYT는 중국과 거래를 끊어 손실을 없앨 것임을 시사한 것이라고 풀이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일자리 하청을 주는 미국 기업들의 경우, 연방정부와의 거래를 금지시킬 것이라며 대중국 강경 자세를 선명하게 드러냈다. 그는 “중국에 빼앗긴 제조업 일자리와 주요 공급망을 미국으로 되돌리겠다”면서 “미국의 제조업을 세계 최강으로 만들 것”이라고 역설했다. 이를 위해 이미 실행하고 있는 막대한 관세 부과로도 모자라면 디커플링도 불사해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완전히 끝장내겠다고 엄포를 놓은 것이다.

2016년 대선 과정에서 대중국 무역 이슈로 재미를 본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초 중국과 1단계 무역 합의를 이뤄냈다. 그러나 미국의 대중국 무역수지는 여전히 비대칭적이다. 미국 상무부 발표에 따르면 7월 미국의 대중 무역적자는 16억 달러 증가한 283억 달러(약 33조6000억 원)로 나타났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대중 강경 노선을 강조하기 위해 민주당 대선 후보인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을 겨냥, “바이든이 집권하면 미국을 중국의 전당포로 만들 것”이라면서 “우리 일자리와 경제, 복지를 중국에 넘길 것”이라고 비난했다.

트럼프 대통령 의지대로라면 재선에 성공할 경우, 중국과의 갈등은 최고조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다만 디커플링 가능성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미국과 중국의 경제가 상당히 얽혀 있어 상호 의존을 끊어내는 게 현실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트럼프 대통령의 디커플링 발언에 대해 “중국과의 경제 관계를 완전히 종식한다는 의미라고 해석하기는 어렵다”고 평가했다. 미국 싱크탱크 브루킹스연구소의 톰 휠러 연구원은 “대선을 앞두고 벌이는 ‘쇼 비즈니스’라고 일축했다.

문제는 트럼프의 엄포가 수사에 그치지 않을 수 있다는 데 있다고 경제 전문지 이코노미스트는 지적했다. 이코노미스트는 디커플링이 현실화할 경우, 중국 기업뿐만 아니라 글로벌 매출의 5%를 중국에서 내고 있는 미국 기업들도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