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창신숭인‧해방촌‧신촌 등 8개 지역 개별 집수리 지원

입력 2020-08-31 11:1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주민 눈높이에서 현장 밀착형 컨설팅

서울시는 올해 안에 마중물 사업 종료를 앞둔 '도시재생 선도·시범지역' 8곳의 도시재생 사업을 마무리하고, 주민들의 지속적인 집수리를 돕기 위해 집수리 전문관을 파견한다고 31일 밝혔다.

연내 사업 종료를 앞둔 도시재생 선도·시범지역 8곳은 종로구 창신‧숭인, 용산구 해방촌, 구로구 가리봉 등 선도지역 3곳과 성동구 성수, 서대문구 신촌, 동대문구 장위, 강동구 암사, 동작구 상도 등 시범지역 5곳이다.

이들 지역의 마중물 사업은 대부분 마무리되고 있지만 노후한 개별 가구는 여전히 남아 있다. 서울시는 집수리를 원하는 주민들이 '서울시 가꿈주택 사업' 등에 참여할 수 있도록 주거재생 전문가인 집수리 전문관을 파견하고, 무료로 컨설팅을 제공할 예정이다.

집수리 전문관 제도는 지난해 4월 처음으로 도입됐다. 자치구 및 협회가 건축 관련 현업에 종사하는 전문가를 추천하면 서울시가 위촉하는 방식이다. 도시재생활성화구역 내 저층 주거지 주민을 직접 찾아가 주택 진단과 대수선, 개‧보수, 신축, 소규모 정비사업 등주민 눈높이에서 맞춤형 상담을 진행한다.

서울시는 집수리 전문관을 파견한 지역에서 '가꿈주택 집수리 보조 및 융자' 사업 신청이 크게 늘어나는 등 주거재생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지난 6개월 간 강북구 수유1동, 은평구 불광2동, 관악구 난곡·난향동, 중랑구 묵2동, 서대문구 천연·충현동 등 6개 도시재생 활성화 구역에 집수리 전문관을 파견해 400건 이상의 상담이 이뤄진 바 있다.

지난해에는 집수리 전문관을 파견한 6개 지역이 서울시 가꿈주택 집수리 보조 및 융자 사업 신청건의 약 30%를 차지했다.

시는 지역별 집수리 전문관 콜센터를 신규 개설해 비대면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고, 인터넷 동영상 공유 플랫폼을 활용해 집수리 전문관과 가꿈주택사업을 홍보할 예정이다.

류훈 서울시 도시재생실장은 “서울시에서 엄선한 전문가들이 주민들의 요구와 고충을 현장에서 듣고 해결책을 모색하게 될 것”이라며 “도시재생사업은 주민과 민간 전문가의 자율적인 참여가 핵심인 만큼 서울시에서도 이들을 돕기 위한 정책들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