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발전, 광기반 전류측정 시스템 국산화 추진…"2022년까지 개발"

입력 2020-08-26 12:0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국동서발전 관계자들이 26일 충남 당진 발전기술개발원에서 '광 집적회로(광IC) 기반의 보호 및 계량 겸용 전류 측정시스템 개발' 착수회의 화상으로 진행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동서발전)

한국동서발전이 높은 기술 난이도와 보안으로 국내 기술개발이 더딘 '광(光) 기반 전류측정 기술' 국산화에 착수했다.

동서발전은 26일 충남 당진 발전기술개발원에서 중소기업 무리기술, 부산대, 동서발전 사내벤처 팩트얼라이언스 등과 '광 집적회로(광IC) 기반의 보호 및 계량 겸용 전류 측정시스템 개발' 착수회의를 비대면 화상으로 개최했다.

전기설비는 전류를 통해 동력을 얻는데, 발전소에서 사용되는 전류 측정시스템은 발전기, 변압기 및 전동기 등 중요 전기설비에서 공급 및 소비하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해 고장과 효율을 감시하는 설비로서 24시간 정확하게 동작해야 한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전류 측정설비는 철심과 코일로 이루어져 크기가 크고, 진동에 의한 손상, 과열 등으로 유지관리가 쉽지 않다.

동서발전이 개발하는 광섬유를 이용한 전류 측정기술은 반영구적인 방식으로 철심, 동선이 없어 친환경적이다.

또 특성변화에 의한 오작동, 화재발생 위험과 전자기적 간섭이 없어 안정성이 뛰어나다. 특히 설비구조가 간단해 유지, 정비가 쉽고 외산제품에 비해 설치와 유지보수 비용을 약 30%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동서발전은 당진화력발전소 내 발전기 하부단자에 광IC 기반 전류측정시스템을 적용해 환경 적합성, 시스템 안정성 및 신뢰성을 평가한 뒤 2022년까지 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다.

동서발전 관계자는 "광IC 적용기술은 산업계 전반에 확대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외 수출도 가능하다"며 "앞으로도 외산기술의 국산화를 통한 중소기업의 기술력 강화, 관련 사업화 지원, 판로 개척 등을 통해 업계와 상생할 수 있는 연구개발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