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스마트항만 테스트베드 조성에 5900억…스마트양식에 6000억 투입

입력 2020-07-16 15:3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해양수산 분야 포스트 코로나 대응전략 발표

▲인천신항 전경. (사진제공=인천항만공사)
해양수산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시대를 대비해 해양수산 분야에서 스마트 항만 구축, 차세대 양식기술 개발, 관공선 친환경 선박 전환, 수산식품 비대면 산업 육성 등에 나선다.

해수부는 16일 6대 추진전략과 18개 추진과제로 구성된 해양수산 분야 코로나19 이후 대응전략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번 전략에는 한국판 뉴딜 대책도 포함됐다.

주요 내용을 보면 우선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으로 인해 주요 컨테이너 항만의 운영이 중단될 경우를 대비해 항만 운영의 전 과정을 자동화해 모든 재난상황에서 안전하게 항만을 운영할 수 있는 스마트 항만 구축을 추진한다.

박준영 해수부 기획조정실장은 "인도 정부의 국가 봉쇄조치로 화물 운송 등이 중단되면서 인도 최대 컨테이너 항만인 자와할랄네루항의 2분기 물동량이 전년동기대비 35% 급감했다"고 소개했다.

이를 위해 5900억 원 규모의 스마트항만 테스트베드 4선석 조성을 추진하고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한다. 또 항만의 스마트화ㆍ자동화와 연계해 지능형 항해, 기관 자동화, 육상제어 시스템 등 자율운항선박 핵심기술 13개의 개발ㆍ실증을 산업통상자원부와 추진한다.

또 부산항과 인천항 배후단지에 중소기업이 공동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 공동물류센터를 조성해 AI(인공지능), IoT(사물인터넷)센서, 디지털트윈 기술 기반의 화물 입출고ㆍ적치, 재고 및 시설 관리 효율화를 통한 중소 물류기업의 혁신을 지원한다.

양식업 전 과정(종자ㆍ사료ㆍ질병관리 등)을 데이터와 AI 기반으로 자동화ㆍ지능화하기 위한 차세대 양식기술 개발도 추진한다. 이를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와 공동으로 아쿠아팜 4.0 사업의 예타 조사를 신청했으며 올해 결과가 나온다. 해수부는 6000억 원 규모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노르웨이의 경우 연어 스마트 양식으로만 100억 달러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해수부는 공공부문에 온실가스와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친환경 선박을 선제적으로 도입하고 민간 확산을 유도해 해양대기환경을 개선하기로 했다. 선박 미세먼지 발생량은 전체의 10%를 차지한다. 이를 위해 해수부 관공선 109척을 친환경 선박으로 전환한다. 25년 이상 노후 관공선 29척은 선박별 규모와 운항 특성 등을 고려해 LNG 추진선, 전기추진선 및 하이브리드선 등으로 대체 건조한다. 해수부는 5000억 원의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선령이 낮은 관공선 80척은 미세먼지 저감장치(DPF) 부착 등을 통해 친환경 선박으로 개조한다. 여기에는 척당 2억 원, 총 160억 원이 투입된다. 박준영 실장은 "친환경 선박은 수소차 등 친환경 차량보다 재정투입 대비 미세먼지 감소 효과가 약 105배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2025년까지 갯벌 4.5㎢(누적) 복원도 추진한다. 2021~2015년까지 복원할 갯벌 면적 3.0㎢는 지난 10년간 갯벌 복원 면적 1.5㎢의 2배에 달한다. 해수부는 갯벌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은 숲의 약 50배로 보고 있다.

아울러 항만배후단지를 활용한 해외 진출 기업의 국내 유턴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현재는 항만배후단지에는 유통ㆍ물류기업이나 30% 이상 수출입을 하는 제조업만 유치할 수 있다. 박 실장은 "항만법을 개정해 수출입이 30% 미만이더라도 제조업을 유치할 수 있도록 하고 인센티브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해수부는 이와 함께 770종의 해양수산 공공데이터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비대면 수산물 유통 및 수출 산업 육성, 해양드론을 활용한 불법어업 단속, 국립해양박물관 등에서 온라인 전시ㆍ체험 플랫폼 구축 등도 추진키로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