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후된 골목길이 변신한다…‘돈화문로 피맛길’ 등 6곳 골목길 재생

입력 2020-06-22 14:4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개소당 10억 투입ㆍ내년 초까지 실행계획 수립…하반기 15곳 추가 선정

(출처=서울시)

서울시가 ‘피맛길’ 원형을 품고 있는 돈화문로 일대를 비롯해 총 6개 지역을 골목길을 따라 500m 내외 선 단위로 재생하는 ‘서울형 골목길 재생사업’ 추가 대상지로 선정했다.

22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형 골목길 재생사업’은 도시재생활성화지역 등 일정 구역을 정해 ‘면’ 단위로 재생하는 기존 도시재생사업과 달리, ‘선’ 단위를 대상으로 하는 현장밀착형 소규모 방식의 재생 사업이다.

열악하고 낙후된 오래된 골목길을 지역의 정체성을 살려 일ㆍ삶ㆍ놀이가 어우러진 곳으로 재생한다. 대상지마다 3년간 마중물 사업비로 총 10억 원이 각각 투입된다.

상반기 공모에는 5월 15일까지 총 9개 자치구, 10개 사업지가 신청했다. 서울시는 사업대상지의 적정성과 자치구 추진 역량, 주민 주도 추진 역량 등을 현장실사와 선정 심사위원회에서 종합적으로 평가해 최종 6개 지역을 사업지로 선정했다.

특히 올해부터는 서울의 역사와 지역의 정체성이 담긴 골목길에 대한 보전‧활성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공모 단계부터 사업유형을 3개(△전략사업형 △사업연계형 △일반형)로 세분화했다.

전략사업형은 서울의 역사와 정체성이 담겨있는 골목길을 보전ㆍ공유하기 위한 유형이다. 사업연계형은 기존에 면(面) 단위로 추진되고 있는 도시재생사업 대상지와 연계해 재생사업의 지속적인 추진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을 담았다. 일반형은 지역 특성을 고려해 활성화가 필요한 골목길을 자유롭게 제안ㆍ재생하는 방식이다.

서울시는 “기존엔 유형 구분 없이 대상지 선정 후 사업계획을 세워 재생하는 방식이었다”며 “이번엔 사전에 특성을 깊이 연구ㆍ파악한 상태로 신청하기 때문에 재생 효과가 훨씬 높아지고, 사업추진 속도도 빨라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 새롭게 골목길 재생을 시작하는 6곳은 △마포구 어울마당로 일대(전략사업형) △종로구 돈화문로 11가길(피맛길) 일대(전략사업형) △용산구 소월로20길 일대(사업연계형) △성북구 장위로15길ㆍ21나길 일대(사업연계형) △구로구 구로동로2다길 일대(사업연계형) △동대문구 망우로18다길 일대(사업연계형)다.

서울시는 내년 초까지 실행계획 수립을 완료하고 본격적인 골목길 재생사업에 들어갈 예정이다. 사업지마다 10억 원이 투입된다.

또한 하반기에도 자치구 공모를 통해 일반형 15곳을 선정할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기존 사업지 25곳과 올 상반기 선정된 6곳을 포함해 골목길 재생사업이 추진되는 지역은 총 46곳으로 늘어나게 된다.

강맹훈 서울시 도시재생실장은 “골목길 재생의 핵심은 열악하고 낙후된 골목길의 환경을 안전하고 쾌적하게 개선하고 골목길을 중심으로 주민들의 활발한 참여를 끌어내 주민공동체를 되살리는 것”이라며 “계획 수립부터 실행까지 전 사업을 주민들과 함께 해나가며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