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한식ㆍ로봇 등 ‘테마형 뮤지엄’ 9곳 2023년까지 개관…3400억 원 투입

입력 2020-06-21 11:1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출처=서울시)

한국 사진사 140년의 역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공공 사진미술관이 2023년 국내 최초로 도봉구에 문을 연다. 문화시설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금천구에는 서남권 최초 공공미술관 서서울미술관이 생긴다. 내년 성북구 삼청각에는 ‘K-푸드’ 한류를 선도할 한식문화 복합공간 한식문화관도 개관한다.

서울시는 ‘박물관ㆍ미술관 도시, 서울’ 프로젝트를 통해 2023년까지 한식, 로봇, 사진 등 다양한 주제의 ‘테마형 뮤지엄’ 9곳을 연이어 개관한다고 21일 밝혔다. 총 3400억 원이 투입된다.

‘박물관ㆍ미술관 도시, 서울’ 프로젝트는 시민 문화 향유권 확대와 지역 간 문화 불균형 해소를 위해 서울시가 2015년부터 추진해오고 있다. 단순히 유물을 관람하고 보관하는 박물관 형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주제의 특색 있는 박물관ㆍ미술관을 건립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구겐하임 빌바오 미술관’을 유치해 매년 100만 명이 찾는 세계적인 관광도시가 된 스페인 ‘빌바오’ 사례처럼 도시를 대표하고 지역 활성화를 이끄는 문화 인프라를 확충할 계획이다.

기존 박물관‧미술관이 주로 도심권에 위치했다면 노원‧도봉‧금천구 등 문화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에 확충해 문화 격차를 해소하고 박물관‧미술관의 다양성을 확보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시에 등록된 박물관ㆍ미술관은 총 175곳, 인구 100만 명 당 박물관 수는 17개로 세계 주요 도시에 비해 부족한 편”이라며 “영국 런던은 총 215곳(100만 명 당 26개), 미국 LA는 총 231곳(100만 명 당 61개), 프랑스 파리는 총 313곳(100만 명 당 149개)”이라고 설명했다.

새로 조성되는 ‘테마형 뮤지엄’ 9곳은 △서울공예박물관(2020년) △한양도성 유적 전시관(2021년) △(가칭)평창동 미술문화복합공간(2021년) △한식문화관(2021년) △로봇과학관(2022년) △서울시 통합수장고(2022년) △서서울미술관(2023년) △서울사진미술관(2023년) △풍납동토성박물관(2023년)이다.

2017년 백남준기념관을 시작으로 돈의문역사관, 이음피움 봉제역사관, 서울생활사박물관, 서울우리소리박물관 등 5곳이 차례로 개관했다.

서울시는 시설 확충 뿐만 아니라 사립 박물관ㆍ미술관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 사업도 펼치고 있다. 각계 전문가로 구성된 민관 협치기구 ‘박물관ㆍ미술관도시 서울 정책위원회’를 운영 중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박물관ㆍ미술관은 도시 문화 수준을 나타내는 바로미터이지만 서울 시내 박물관‧미술관 수는 세계 주요 도시에 비해 부족하고 지역 간 문화 격차도 존재한다”며 “서울시는 시민 누구나 지역 간 격차 없이 다양한 문화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문화 소외 지역을 중심으로 ‘테마형 뮤지엄’을 확충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