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 코로나19로 올 상반기 6000억 적자 예상

입력 2020-06-17 11:12수정 2020-06-17 14:2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이달부터 열차 수요 회복에 주말 KTX 운행 정상화

▲한국철도공사 사옥 전경. (사진제공=한국철도)

한국철도(코레일)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상반기에만 6000억 원에 달하는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17일 한국철도에 따르면 코로나19 위기 경보가 ‘경계’ 단계로 바뀐 올해 1월 28일 이후 이달 15일까지 140일간 한국철도 누적손실은 5692억 원에 달한다. 하루 평균 41억 원이다.

위기 경보가 ‘심각’ 단계로 강화된 2월 23일 이후로 매출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9% 감소했고 일평균 45억 원의 손실이 발생했다.

KTX는 심각 단계 전환 이후 일평균 이용객이 8만 명에 그쳐 코로나19 발생 전 19만 명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새마을호, 무궁화호 등 일반 열차의 경우 일평균 10만 명이 이용해 발생 전 20만 명 수준에서 절반으로 감소했고 광역철도도 35% 줄었다.

이에 일각에서는 한국철도에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다. 국제철도연맹(UIC)에 따르면 미국(10억 달러), 이란(5억 달러)의 경우 철도 분야에 직접 보조금을 지급했고 프랑스, 영국 등도 정부가 보조금 지급 계획을 마련하고 있다.

한국철도는 코로나19가 진정 기미를 보이면서 향후 열차 수요도 회복될 것으로 예상했다.

앞서 이달 15일부터는 한시적으로 확대 운영했던 자유석 지정 객실을 원래대로 환원했다. 생활 방역 전환 이후 출퇴근 시간대 일반석 이용객이 다소 늘어남에 따라 자유석 운영 칸수를 조정해 객실 혼잡도를 완화하기로 한 것이다.

13일부터는 3월 말부터 일부 감축한 주말 KTX 운행도 정상화하고 공급 좌석을 늘렸다. 이에 따라 토요일은 KTX 열차 운행 횟수가 302회에서 332회로, 일요일은 300회에서 328회로 늘어났다.

한편, 한국철도는 지난달 27일부터 마스크 미착용 승객의 열차 이용을 제한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