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소기업 표준 업무 인력 격차 36배…표준 전문인력 양성 절실

입력 2020-06-16 15:0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이승우 국가기술표준원장 (사진제공=국가기술표준원)

KS 인증이 제품의 매출 증가에 도움이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표준 업무 인력 격차가 36배에 달해 인증 업무를 담당할 표준 전문인력 양성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10인 이상 제조업체 1000곳을 대상으로 지난해 12월부터 3개월간 진행한 '2019 산업표준화 실태조사'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KS 인증을 보유한 기업의 90.8%가 인증제품을 통한 매출 향상이 있다고 응답했다. 특히 KS 인증제품이 매출에 도움이 된다고 답한 기업 가운데 절반가량(49.2%)은 매출 증가 비율이 10~30%에 달했다. 30~50% 매출 상승효과를 얻었다고 답한 기업도 13.3%나 됐다.

국표원은 이에 대해 KS 인증을 통해 제품의 신뢰도와 품질 제고, 공공기관 납품 등의 효과가 매출향상으로 이어진 결과로 분석했다.

눈에 띄는 점은 표준업무를 수행하는 인원이다. 중소기업의 경우 평균 1.9명에 불과한 데 반해 중견기업은 7.4명, 대기업 69.9명으로 조사돼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격차는 36배에 달했다. 기업 규모 별로 차이가 적지 않은 셈이다.

이는 기업이 느끼는 표준화 활동 애로사항으로 이어진다. 기업들이 표준 업무 관련 가장 어렵게 느끼는 부분은 인력 부족이라는 의미다. 기업은 표준 업무 해결해야 할 문제 1위로 내부 인력 전문성 부족(31.2%)을 꼽았다. 2위 역시 전담 인력 부족이 29.6%로 조사됐다.

표준 관련 애로 해결방안(복수 응답)으로는 '내부인력을 활용한다'는 답변이 90.9%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그 뒤로 관련 기관 상담(29.6%), 유료 컨설팅(25.3%), 관련 기관 교육·컨설팅(25.1%) 등이 뒤를 이었다.

국표원은 이에 대해 기업들이 표준에 대한 전문성은 부족하지만, 신속하고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내부인력으로 표준 관련 애로사항을 해결하려는 의지를 가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승우 국표원장은 “이번 조사에서 KS 인증을 통한 품질 확보와 공공 조달 인센티브 등의 효과가 매출향상으로 연결되는 것을 확인했다“며 “포스트코로나와 4차산업혁명에 신속·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KS 인증과 표준 등 KS 제도 개편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기업의 표준인력 경쟁력 강화를 위해 표준대학원 사업 등 표준 전문인력 양성에도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