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골목상권 피해 커…상가 통합 플랫폼 마련 필요”

5일 국토연구원 관련 보고서 발표

▲빈 점포 및 상가 통합플랫폼 개념도 (표=국토연구원)

코로나19 피해로 도심 상권 매출이 줄었다. 이에 빈 점포와 상가 통합 플랫폼을 마련해 자영업 폐업 문제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5일 국토연구원은 ‘코로나19 피해가 큰 원도심 상업지역 빈 점포·상가 현황과 대응 방안’을 발간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실물경제 위축과 최저임금 인상 영향으로 골목상권 경기 침체가 계속됐으며 올해 코로나19 사태 이후 피해가 증가할 전망이다.

가장 큰 피해지역은 원도심 상권으로 전망됐다. 코로나19 이후 폐업 증가로 원도심 상업지역에 빈 점포와 상가가 급격히 늘어 피해 장기화가 우려됐다. 지난 2015년 국토연구원 조사 결과, 대전과 대구, 청주, 광주 등 주요 도시 원도심 상권 공실률은 꾸준히 증가했으며 2018년 이후 급격히 증가했다.

또 빈 점포와 상가 현황자료 수집이 이뤄지지 않아 어느 지역에 빈 점포가 밀집해 있는지 파악할 수 없는 상황이다.

국토연구원은 해결책으로 소상공인 맞춤형 정책 지원을 위한 빈 점포·상가 통합 플랫폼 구축을 제안했다. 정부 차원에서 관련 플랫폼을 구축해 에너지 사용량 등 자료를 활용해 빈 점포와 상가 현황을 파악하고, 지자체는 이를 활용해 상권 현황을 모니터링해야 한다고 밝혔다.

감염병 취약 업종과 빈 점포 밀집지역, 발생 기간 모니터링을 통해 상권 특성에 맞는 활성화 방안 제시도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나아가 지속가능성 관점에서 상권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세금 감면과 소상공인 생활지원 시설 확대 등을 제안했다.

박정은 연구위원은 “비대면 소비 증가 추세를 고려해 장기적으로 원도심 상업지역 관리 방향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