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0.1% 전망…“코로나19 속 선방할 것”

입력 2020-05-10 09:4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BE 보고서에서 코로나 이전보다 2.4%포인트 하향 조정…31개국 중 3번째로 양호

▲해운대구 영화의 전당 영화관에서 관객들이 띄엄띄엄 앉아 영화를 관람하고 있다.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으로 세계 경제가 대공황 이후 최악의 경기 침체 위기에 직면한 가운데, 한국 경제는 비교적 ‘선방’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10일 블룸버그 산하 경제연구소인 블룸버그 이코노믹스(BE)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기준 경제 성장률은 마이너스(-) 0.1%로 전망됐다. 앞서 코로나19 사태 이전에 BE가 내놓은 전망치는 2.3%였는데, 2.4%포인트 하향 조정됐다.

BE가 국가별 전망치를 내놓은 주요 31개국 중에서 홍콩 다음으로 종전 전망치 대비 하향 조정 폭이 낮았다. 홍콩의 전망치는 종전 -0.4%에서 -2.0%로 1.6%포인트 하향 조정됐다. 또한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31개 나라 가운데 중국(2.0%)과 인도네시아(0.8%)에 이어 3번째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미국의 성장률 전망치는 2.0%에서 -6.4%로 8.4%포인트 낮아졌고, 유로존 역시 0.9%에서 -8.1%로 9.0% 하향조정됐다. 이탈리아나 스페인, 캐나다 등은 낙폭이 더 큰 축에 속했다.

앞서 국제통화기금이 (IMF)이 지난달 발간한 주요 20개국(G20) 경제전망 보고서서도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는 -1.2%로, G20 중 4번째로 높았다. 1월 전망치와 비교했을 때 하락 폭은 3.4%포인트로 가장 작았다.

최근 성장률 전망치에서 한국이 비교적 양호한 성적을 받고 있는 이유는 ‘코로나19 조기 억제 성과’ 덕분이다. 최근 전 세계적인 코로나19 확산과 그로 인한 경제적 충격 속에서 한국은 상대적으로 조기에 코로나19를 억제하는 성과를 거뒀다는 평가를 받는다. BE 역시 이번 보고서에서 “강한 보건체계, 효율적인 정부, 충분한 재정 여력을 갖춘 나라가 빠르게 성장세로 돌아갈 수 있는 위치에 있다”며, 회복력이 큰 국가로 한국과 독일을 지목했다. 특히 한국은 의료체계 접근성과 질, 정부 효율성 등이 높게 평가를 받는 것으로 분석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