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 “코로나19 항체검사로 집단면역 형성 판단은 제한적”

입력 2020-04-25 15:5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방역당국이 지금의 코로나19 항체검사로 집단면역 형성을 판단하기는 제한적이라고 진단했다. 당국은 항체검사를 생활방역 전환의 결정적 근거로 삼기 어렵다는 견해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2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례브리핑을 통해 “항체검사가 생활방역으로 전환하는 결정적 지표인지는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윤 총괄반장은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에서 코로나19 항체 형성이 면역 형성과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고, 무작위 표본 검사를 하려면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 “항체 형성률은 해당 지역에 확진자가 얼마나 많은가, 얼마나 적극적으로 검사를 하느냐 등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해석에 제약이 따른다”고 부연했다.

그는 “현재는 신규 확진자 추세, 방역망 관리 비율, 어떤 현상의 객관적 위험도 평가가 생활방역으로 전환하기 위한 유효한 지표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손영래 중대본 홍보관리반장은 “집단면역에 대한 것들은 아직 확실하게 검증되지 않았고, 항체 결과도 여러 가지 논란이 있다”고 말했다.

손 반장은 “더 두고 보면서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나오고 있는 과학적 근거들로 평가해야 한다”면서 “현재 코로나19가 장기간 지속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또 “백신이나 치료제가 개발되기 전까지는 확산과 감소를 반복하며 지속할 것으로 예측하기 때문에, 사회적 거리두기를 계속 유지하기 어렵다는 판단”이라고 부연했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은 “항체검사나 군집면역 조사 외에 다른 지표로도 생활방역의 시작을 판단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현재 코로나19 항체의 방어력과 지속기간을 둘러싼 의문이 존재하고, 짧은 시간에 항체조사 결과를 내기 어렵다”면서 “아직 항체조사 방법과 결과의 신뢰성을 더 검증할 필요가 있다. 집단면역이 그 정도 규모까지 가지 않는다고 해도, 의료진의 신고 등 우리의 감시체계를 가동하면 유행이 많이 억제되는 것으로 일부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