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이틀째 10명 내외…앞으로 2~3일이 고비

입력 2020-04-20 14:3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두 자릿수 복귀에도 감소세 유지…총선 영향 아직 나타나지 않아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질병관리본부장)이 6일 충북 청주시 오송읍 질병관리본부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생 현황을 브리핑하고 있다. (사진제공=질병관리본부)

앞으로 2~3일이 고비다.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환자가 일간 10명 내외로 줄었으나, 국회의원 총선거 등의 영향이 아직 나타나지 않아서다.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20일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확진환자가 전날보다 13명 증가한 1만674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전날(8명)에 비해선 신규 확진자가 소폭 늘었으나, 추이로는 감소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전날 사회적 거리 두기를 연장하되, 시설 운영중단 권고 등 ‘강제적 격리’를 다소 완화하기로 했다.

단 일상적 방역 준수 여부에 따라 자칫 이주부터 확진자가 다시 급증할 우려도 있다. 코로나19의 최대 잠복기는 14일, 평균 잠복기는 5~7일이다. 불특정 다수 국민의 접촉이 발생했던 12일 부활절과 15일 총선 때 코로나19 추가 전파가 발생했다면, 추가 감염원의 증상 및 전파력은 대부분 20~22일 중 발생한다. 이 시기에 사회적 거리 두기나 방역수칙이 제대로 준수되지 않으면, 추가 감염원이 확진돼 격리되기까지 이들을 통한 재전파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방대본은 사전투표를 비롯한 총선 영향을 앞으로 2~4주간 모니터링할 방침이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질병관리본부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5월 5일까지 실시하는 사회적 거리 두기가 일상생활로 전환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밀폐된 장소에서 밀접한 접촉이 일어날 수 있는 시설은 운영을 최대한 자제하고, 불가피하게 운영할 경우에는 입구에서 발열 및 호흡기 증상 여부를 확인하고 출입대장을 작성하고, 마스크를 착용하며, 참여자 간 거리 유지, 소독 및 환기를 철저히 하는 등 방역지침을 준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수도권과 영남지역에서 산발적인 지역발생이 이어지고 있는 점도 향후 상황을 낙관하기 어려운 이유다. 이날 부산과 경북에선 2명씩, 대구와 경기에선 1명씩 신규 확진자가 나왔다. 주요 지역발생 사례를 보면, 부산에서는 연제구 부산의료원에 근무하는 직원 1명과 그 가족 1명이 확진됐다. 경북 예천군에서는 접촉자 조사 과정에서 2명이 추가로 확진됐다.

여기에 격리 해제 후 재양성 사례도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방대본에 따르면, 재양성 사례는 누적 181명으로 전날보다 2명 늘었다. 다만 재양성 확진자를 통한 추가 전파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정 본부장은 “방역당국 입장에서는 아무래도 (사회적 거리 두기를 완화한다는) 이런 메시지가 국민께 혹시나 사회적 거리 두기를 느슨하게 하거나 중단한다는 의미로 잘못 이해될까봐 그 점을 가장 우려하고 있다”며 “이런 완화조치로 인해 대규모 유행으로 이어지지 않게끔 국민께서 적극적으로 사회적 거리 두기와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를 해달라”고 호소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