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형로봇 등 4대 신산업, 2028년까지 산업기술인력 16만8000명 필요

입력 2020-04-19 13:04수정 2020-04-19 14:2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산업부, 2018년 말 기준 4대 유망 신산업 사업체 대상 산업기술인력 실태조사 결과 발표

▲2028년 미래 유망 신산업 분야별·직무별 인력수요 전망 (자료제공=산업통상자원부)

2028년까지 디지털헬스케어, 스마트·친환경 선박, 항공드론, 지능형 로봇 등 4대 신산업 분야에 필요한 산업기술인력이 16만8000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 산업의 석·박사급 인력 부족률은 2018년 말 기준 기존 주력산업의 3.8배에 달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18년 말 기준 4대 신산업에 참여하는 사업체를 대상으로 산업기술인력 실태조사를 진행한 결과 산업기술인력은 총 10만5000명, 부족 인력은 4755명으로 집계됐다고 19일 밝혔다.

4대 신산업 분야의 사업체는 총 3500여 개로 100인 미만 중소기업 비중이 81.7%로 가장 높았으며 필요인력은 주로 신규 채용과 기존 재직자의 직무 전환을 통해 이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산업의 산업기술인력 평균 부족률은 4.3%로 12대 주력산업 2.2%의 두 배에 달했다. 특히 대학 학부와 석·박사급 부족률이 각각 4.9%와 9.1%로, 12대 주력산업 부족률 2.3%와 2.4%를 크게 웃돌았다.

2028년까지 4대 신산업 분야에서 필요한 인력 수는 2018년보다 6만3000명 늘어난 16만8000명으로 추산됐다.

분야별로 디지털헬스케어는 2018년 기준 3만8050명이 종사하고 있으며 부족률은 4대 신산업 중 가장 큰 7.1%였다. 인력 수요는 연평균 5.2%씩 증가해 8년 뒤에는 6만3048명이 필요할 전망이다.

스마트·친환경 선박은 3만5549명이 종사하고 있고 부족률은 2.6%다. 2028년 4만9217명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됐다. 선박 산업은 국내외 환경 규제에 대응하고 자율 운항 선박을 개발하기 위한 인력 수요가 계속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항공드론은 4823명이 종사하고 있고 부족률은 4.3%이다. 인력 수요는 연평균 6.7%씩 늘어나 2028년에는 9258명이 필요하다. 드론 시장 확대 등으로 기술개발의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으나 아직 초기 단계라서 연구개발 인력 수요가 높았다.

지능형 로봇은 2만6338명이 종사하고 있으며 부족률은 2.6%다. 2028년에는 4만6567명이 필요할 전망이다. 인력 증가 요인은 산업 간 융합으로 산업 범위 확장, 신규 참여 기업 증가, 기업 성장에 따른 인력 증가 등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4대 신산업 공통으로 부족률이 가장 높게 조사된 석·박사급 인력 양성 지원을 올해 확대 추진함과 동시에 내년에는 바이오·헬스 분야 전문 인력 양성 과정을 신규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