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정세균 “K-방역 모델을 세계와 공유”…최근 확진자 감소 폭풍전야로 느껴져

입력 2020-04-17 08:57수정 2020-04-17 09:0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연합뉴스)

정세균 국무총리가 17일 “외교부는 코로나19 극복 지원을 위해 우리의 K-방역 모델을 세계와 공유하는 다양한 방안을 추진하라”고 지시했다. 또 최근 확진자 감소를 폭풍전야의 고요함으로 비유하며 주의를 당부했다.

정 총리는 이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하고 “코로나19는 세계 인류가 공동으로 마주하고 있는 위기”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우리나라 상황이 안정된다고 하더라도 해외 유행이 계속되면 안심할 수 없는 것이 특징”이라며 “따라서 광범위한 국제적 공조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의 방역 모델에 대해 세계가 관심을 갖고 주목하고 있다. 이른바 K-방역이다”며 “광범위한 진단검사로 조기에 환자를 찾아내서 지역사회로부터 격리하고, ICT를 활용한 역학조사를 통해 확진자의 접촉경로를 밝혀내 투명하게 공개하는 전략이 대표적인 K-방역 모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확도 높은 진단키트, 대면접촉을 최소화하는 드라이브 스루와 워크 스루 검사, 시민의 자발적 참여와 협조를 바탕으로 한 자가진단 앱 활용, 병상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생활치료센터 도입, 질서 정연했던 전국단위 선거방역 등은 개도국뿐 아니라 선진국들까지도 벤치마킹 대상으로 삼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정 총리는 최근 확진자 감소를 폭풍전야의 고요함에 비유하며 주위를 당부했다. 그는 “4월 들어 코로나19 감염 확산세가 확연히 줄었다”며 “신규 확진자는 어제까지 4일 연속으로 20명대에 머물렀고, 해외유입 요소를 제외하면 한 자릿수에 가깝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하지만 내용을 살펴보면 이는 마치 폭풍전야의 고요함처럼 느껴진다”며 "숫자는 적어도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확진자가 계속 발생하고 있는데, 지역사회나 해외입국자에 의한 무증상 감염이라는 의심을 지울 수 없다“고 강조했다.

특히 “행락철을 맞아 사회적 거리두기가 많이 느슨해진 것도 사실이다. 젊은 층을 중심으로 유흥업소 등의 출입도 늘었다”며 “부활절과 총선 기간 중 급격히 증가한 사회적 접촉의 영향도 예의주시해야 하겠다”고 주문했다. 이어 “관계부처와 지자체에서는 당장 신규 확진자가 줄었다고 방심하는 일 없이, 철저히 방역에 임해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