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공공서비스 혁신에 207억원 투입

입력 2020-04-13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과기정통부 온라인 사업설명회 (과기정통부 제공)

정부가 공공분야 지능정보화를 위한 ICT기반 공공서비스 촉진사업을 본격화한다.

과기정통부는 올해 진행되는 207억 원 규모, 14개 과제 ICT 공공서비스 촉진사업 수행기업을 선정하기 위해 16일 ‘2020년도 ICT기반 공공서비스 촉진 온라인 사업설명회’를 연다고 13일 밝혔다.

설명회에서는 중앙행정기관‧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에서 접수된 85개의 과제 중 최종 선정된 14개 과제에 관한 사업내용과 범위, 조달발주 공고 등을 안내할 예정이다. 기존 설명회는 오프라인으로 개최됐으나, 올해는 코로나19를 극복하기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라 온라인(카카오TV 라이브, 16일 오후 2~4시)으로 진행되며, 실시간 채팅을 통한 질의 답변을 제공할 예정이다.

ICT기반 공공서비스 촉진사업은 유망 ICT기술을 공공부문에 선도 적용해 공공서비스를 혁신하고 ICT신기술 시장 수요를 조기에 창출하는 사업이다.

해당 사업을 통해 시범적으로 구축된 혁신적인 공공서비스는 이후 관련 제도 개선, 주관기관의 본사업 추진 등을 통해 기관 내·타기관·전국으로 확산됐다. 올해 14개 과제는 국민의 생활과 직결된 서비스를 중심으로 추진하며, 민간주도 디지털 정부혁신을 위한 민간클라우드 도입, 공공데이터‧서비스 개방, 민간서비스‧플랫폼 활용을 적극적으로 장려할 계획이다.

우선 머신러닝 기반의 사회서비스 바우처 부정수급 탐지시스템(사회보장정보원)을 구축해 바우처 부정수급 사례를 신속하게 자동 적발함으로써 복지재정 누수를 원천 차단, 사회서비스 혜택이 국민에게 골고루 돌아갈 수 있도록 할 전망이다.

인공지능 기반 공공조달 건설 일자리지킴이(조달청) 사업을 통해서는 건설현장 출입관리시스템·하도급지킴이·통합원가시스템을 연계한 건설근로종합정보시스템을 구축해 건설노동자의 근로환경 개선, 경력관리, 구인·구직정보 제공 등 건설일자리 문제를 해결할 예정이다.

AI기반 강력범죄 재발방지를 위한 전자감독 서비스(법무부)는 AI 자동관제 및 보호관찰관 서비스를 제공해 전자감독 대상자별 맞춤형 지도·감독을 통한 강력범죄 사전 예방에 기여함으로써 국민 안전 불안을 해소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

또한 머신러닝 기반 간편 주소관리 서비스(한국우편사업진흥원)를 통해 이사, 이직 등 각종 주소변경을 머신러닝으로 탐지해 최신주소로 자동 변경함으로써 주소정보 오류를 크게 감소시키는 시스템 또한 구축할 계획이다.

이 외에도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에너지관리 시스템 구축(한국에너지공단) △AI-Matching 성인학습자 교육과정 추천시스템 구축(한국교육학술정보원) △지능형 계량기 유통관리 시스템 구축(국가기술표준원) 등 최신 기술을 활용해 대국민 편의를 높이기 위한 공공서비스 개선 과제들이 추진된다.

2020년도 ICT기반 공공서비스 촉진 온라인 사업설명회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한국정보화진흥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