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권서 수원·용인 각각 0.29%, 0.16%로 가장 크게 올라
서울 아파트 시장의 지역별 온도차가 갈수록 뚜렷해지고 있다. 고가주택에 대한 대출규제를 담은 12.16대책으로 강남권은 매수심리가 갈수록 위축되는 반면 중저가 아파트가 많은 노원, 관악, 도봉구는 많은 수요가 유입되면서 집값 오름세가 이어가고 있다. 대책 풍선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경기도 수원과 용인은 교통호재와 원도심 재개발 사업 호재까지 따라붙어 집값이 크게 뛰었다.
14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03%를 기록했다. 재건축 단지는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와 송파구 잠실동 주공5단지 등 주요 단지가 하향 조정되면서 0.12% 떨어졌다. 일반 아파트는 상승폭이 둔화되며 0.05% 올랐다.
서울은 비강남권 지역의 집값이 강세를 보였다. 지역별로 △노원(0.23%) △관악(0.16%) △성북(0.15%) △도봉(0.14%) △광진(0.13%) △강서(0.12%) △구로구(0.12%)순으로 올랐다. 노원구는 광운대 역세권 개발, 동북선 경전철 호재가 있는 월계동 미륭·미성·삼호3차를 비롯해 상계동 주공3단지, 불암현대 등이 500만~2000만 원 가량 상승했다. 성북구는 중저가 아파트에 매수문의가 이어지면서 하월곡동 월곡두산위브, 래미안월곡1차가 500만~1500만 원 올랐다.
반면 고가 아파트 밀집지역인 송파구(-0.15%)와 동작구(-0.05%), 강남구(-0.04%)는 떨어졌다. 송파구는 잠실동 주공5단지와 레이크팰리스, 신천동 잠실파크리오 등이 1500만~3000만 원 가량 낮아졌다. 동작구는 지난 2018년 입주한 흑석동 아크로리버하임이 4000만 원 가량 하향 조정됐다.
신도시와 경기ㆍ인천은 각각 0.03%, 0.09% 상승했다. 신도시에선 동탄(0.06%)이 가장 많이 올랐고, △광교(0.04%) △분당(0.03%) △평촌(0.03%) △산본(0.02%) 순으로 상승했다. 동탄에선 청계동 시범예미지와 반송동 메타폴리스, 능동 동탄숲속마을자연앤경남아너스빌이 중대형 면적 위주로 최대 4500만 원까지 치솟았다.
경기ㆍ인천은 신분당선 남부 연장(광교중앙~호매실) 예비타당성 통과로 교통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커진 지역들이 오름세를 견인했다. 수원(0.29%)과 용인(0.16%)이 가장 크게 올랐고, △의왕(0.11%) △광명(0.10%) △안양(0.09%) △인천(0.07%) 순으로 강세를 보였다.
수원은 교통호재 기대감에 거래가 이어지면서 호매실동 호매실GS와 화서동 한진현대 등이 많게는 2000만 원 상승했다. 용인은 마북동 삼거마을삼성래미안1차, 성복동 성동마을LG빌리지1차 등이 최고 2500만 원까지 올랐다.
전세값은 코로나19(신종 코로나)의 영향에 국지적으로 문의가 줄었지만, 서울은 매물품귀가 지속되며 0.06% 상승했다. 송파구(0.15%)가 가장 큰 오름세를 보였고, 이어 △강서(0.12%) △강북(0.10%) △성북(0.08%) △강남(0.07%) △강동(0.07%) △마포(0.07%) △서초구(0.07%) 순으로 올랐다. 송파구에선 잠실동 잠실엘스, 주공5단지, 신천동 잠실파크리오 등이 500만 원~2000만 원 상승했다.
신도시 전셋값은 0.02% 올라 전주와 비슷한 흐름을 이어갔다. 경기ㆍ인천은 0.04% 상승해 지난주(0.01%)보다 오름폭이 커졌다.
경기ㆍ인천의 경우 매매가격이 크게 오른 지역에서 전세가격이 동반 상승했다. 수원(0.09%)과 용인(0.08%)이 가장 크게 올랐고, △광명(0.04%) △시흥(0.04%) △의왕(0.03%) △하남(0.03%) △평택시(0.03%) 순으로 상승했다.
여경희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정부가 12·16대책 이후 집값 과열 양상을 보이는 수도권 일부 지역에 대한 추가 대책을 검토하면서 교통호재와 원도심 재개발 사업으로 집값이 크게 오른 수원과 용인, 성남 등이 규제 대상이 될 가능성이 커졌다"며 "주택시장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와 고가 아파트 거래자에 대한 자금출처조사 등의 조치가 집값 불안의 제동장치 기능을 할 전망이지만 수요가 규제를 피해 또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부작용이 나타날 가능성도 우려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