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3곳 중 1곳 “신종 코로나, 직접적 경영 타격”

입력 2020-02-10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중기중앙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 관련 중소기업 피해현황 및 의견조사’ 발표

▲피해 기업 중 제조업의 피해 사례 (자료제공=중기중앙회)

중소기업 3곳 중 1곳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 코로나)에 직접적 피해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중기중앙회)는 신종 코로나로 피해를 보는 중소기업을 파악하기 위해 관련 중소기업(중국 수출입업체, 중국 현지법인 설립업체, 국내 소상공인 서비스업체) 250개사를 대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 관련 중소기업 피해현황 및 의견조사’를 실시했다. 10일 발표된 결과에 따르면 관련 중소기업의 34.4%는 이번 사태로 직접적으로 타격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세부적으로 제조업은 31.0%, 서비스업은 37.9%의 기업이 피해를 입었다. 피해 기업 중 제조업은 ‘원자재수급 차질(56.4%)’, ‘부품 수급 차질 (43.6%)’등을 겪었고, 서비스업은 76.6%의 기업에서 ‘내방객 감소로 인한 매출축소’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코로나바이러스 사태와 관련하여, 43.2%의 기업들이 이전과 비교해 체감 경기가 악화됐다고 응답했다. 세부적으로 제조업(30.2%) 보다 서비스업(56.5%)에서 체감 경기가 악화되었다는 응답 비중이 높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정부의 대응책으로 관련 중소기업들은 ‘국민 불안감 해소를 위한 신속한 대책마련(61.2%)’이 가장 중요하다고 꼽았다. 동시에 △피해 기업에 대한 관세 등 납세 유예 등 경영활동 지원(50.0%) △내수활성화를 위한 정부재정 조기집행(34.8%) △피해 기업에 대한 긴급 경영안정자금 지원(34.0%) 등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기문 중기중앙회 회장은 “중국 부품 및 원자재 수입 차질시 정상적인 기업 활동이 어렵고 자금압박이 심화될 우려가 크다”며 “지난해 일시적인 경기하락으로 기업의 신용등급이 하락한 상태에서 금리인상과 자금상환 부담이 우려되며, 이번 신종 코로나 확산으로 부담이 더욱 가중될 것으로 보여지는 만큼, 정부 긴급경영안정자금의 조속한 마련과 집행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