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최근 경기 부진 완화…'신종 코로나' 확산, 향후 경기 회복 제약"

입력 2020-02-09 12:02수정 2020-02-09 13:5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 방지 조치에 나선 롯데면세점. (사진제공=롯데면세점)

한국개발연구원은 9일 “광공업과 서비스업 생산을 중심으로 경기 부진이 완화됐으나 1월 말 이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 코로나) 확산은 향후 경기 회복을 제약할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KDI는 이날 KDI 경제동향 2월호에서 “신종 코로나의 거시경제적 파급을 예단하기 어려우나, 향후 경기에 대한 어느 정도의 부정적인 영향은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KDI는 “서비스업생산이 비교적 높은 증가세를 유지한 가운데 광공업생산이 큰 폭의 증가로 전환되고 제조업 출하 확대에 따라 재고율도 하락했다”고 진단했다.

또 “수요 측면에서도 12월 소매판매 증가세가 확대되고 투자 부진이 완화됐으며 1월 수출도 일평균 기준으로는 증가로 전환됐다”고 긍정 평가했다.

그러나 KDI는 “신종 코로나에 대한 우려가 주요 금융지표에 반영된 가운데, 관광과 관련된 일부 업종에서 부정적 영향이 우선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KDI는 “신종 코로나의 전개 방향이 불확실하다는 점에서 거시경제적 영향을 현시점에서 정량적으로 추정하기는 어렵다”며 “2월 이후 외국인 관광객의 감소와 내국인의 외부활동 위축이 숙박 및 음식점업 등을 중심으로 한 서비스업생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KDI에 따르면 메르스의 부정적 영향이 집중됐던 2015년 6~8월의 경우 외국인 관광객은 전년 동기간 대비 45.5%(월평균 46만4000명) 감소하고 서비스업생산도 연평균 대비 0.8%포인트(P) 낮아졌다.

KDI는 “중국산 부품수급에 차질이 발생할 경우 국내 광공업생산도 일부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신종 코로나가 확산되면서 관광 관련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국내 소비활동의 위축은 불가피한 것으로 봤다. KDI는 “메르스가 유행했던 2015년 6~8월에도 면세점과 숙박⋅음식점업을 중심으로 소비가 위축됐다”고 밝혔다.

KDI는 “수출은 일평균 기준으로는 부진이 점차 완화되고 있다”면서도 “신종 코로나에 따른 대외 수요 위축이 수출 회복을 제약할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분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