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공공부문 일자리 245.1만 개, 전년대비 2만 개↑…60대 이상 9.1% 급증

입력 2020-02-06 12:00수정 2020-02-06 15:5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비공무원 2만개 줄어…공공부문 일자리 비중 9.1%

▲2018년 기준 공공부문에서 60세 이상 일자리가 전년대비 9.1%나 늘어났다. 통계청은 정부의 노인 일자리 확대 정책 영향으로 분석했다. (출처=통계청)

2018년 기준 공공부문 일자리가 245만1000개로 전년보다 2만 개(0.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부의 노인 일자리 확대 영향으로 60대 이상 일자리가 1만3000개(9.1%)나 늘어났다. 또 정부의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 정책에 따라 비공무원의 일자리가 2만 개 줄었다.

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공공부문 일자리통계’에 따르면 2018년 기준 공공부문 일자리는 245만1000개로 2017년보다 2만 개 늘었다. 일반정부는 209만7000개로 1만3000개, 공기업은 35만4000개로 7000개 늘었다.

취업자 수 대비 공공부문 비율은 9.1%로 2017년보다 0.04%포인트(P) 상승했다. 2017년 기준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18%와 비교하면 절반 수준이다. 일반정부 일자리 비율은 7.8%, 공기업 일자리 비율은 1.3%였다.

일반정부 일자리를 세부영역별로 보면 중앙정부는 78만9000개(32.2%), 지방정부는 126만7000개(51.7%), 사회보장기금은 4만1000개(1.7%)로 나타났다. 전년보다 중앙정부는 1만2000개(1.6%), 사회보장기금은 4000개(9.7%) 증가한 반면 지방정부는 3000개(-0.2%) 감소했다.

공기업 일자리 중 비금융공기업은 32만8000개(13.4%), 금융공기업은 2만6000개(1.1%)였다. 전년보다 비금융공기업만 7000개 증가(2.2%)했다.

남자가 점유한 일자리는 134만9000개(55.0%)로 여자가 점유한 110만2000개(45.0%)의 1.22배 수준이었다. 참고로 민간부문 임금근로 일자리 중 남자(58.5%)는 여자의 1.41배 수준이다.

연령별로 보면 40대가 28.6%로 가장 많고 30대(26.2%), 50대(23.2%), 29세 이하(15.6%), 60세 이상(6.5%) 순이었다. 전년 대비로는 60세 이상에서 1만3000개 일자리가 증가해 9.1%의 증가율을 보였다. 박진우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60세 이상에서 일자리가 많이 증가한 것은 정부 정책(노인 일자리 확대)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2018년 기준 평균 근속 기간은 11.8년으로 전년 11.6년보다 0.1년 증가했다. 이는 민간부문 임금근로 일자리의 평균 근속 기간은 5.3년과 비교하면 두 배에 달했다.

정부기관에서 공무원이 점유한 일자리는 131만8000개(69.6%)였고 비공무원이 점유한 일자리는 57만6000개(30.4%)였다. 정부의 비정규직 정규직화 정책에 따라 전년 대비 정부기관에서 공무원 일자리는 2만5000개 증가한 반면, 비공무원의 일자리는 2만 개 줄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