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공공 혁신 플랫폼 3개소 구축 마쳤다

입력 2020-02-03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민간의 새로운 서비스 개발 촉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공공 혁신 플랫폼 3개소 구축을 완료했다고 3일 밝혔다.

공공 혁신 플랫폼은 중앙정부나 지방자체단체에서 국민들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에 적용되는 소프트웨어(SW)를 민간이 개발하고 정부가 이를 지원하는 것이다.

기존 정보화 사업과 다르게 정부가 필요한 시스템 및 기능을 직접 구축하지 않고 민간의 혁신 SW서비스 이용 및 개발 지원 등 민간 SW시장 확산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특징이다. 과기부는 2018년도부터 추진한 과제기획을 통해 ‘전자의무기록(EMR) 인증 표준 개발 및 확산 지원(복지부)’ 등 선정한 3개 플랫폼에 대해 작년 총 61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했다. 보건복지부, 서울시, 전라남도가 시스템 구축에 참여했다.

우선 보건복지부는 전국 의료기관·업체에서 개별 구축한 전자의무기록(EMR)을 공유 및 활용이 가능하도록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표준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민간 제공을 위한 웹 플랫폼을 구축했다. 환자 중심의 진료정보 교류, 진단지원시스템 개발 등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신산업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는 25개 자치구별로 각자 다르게 운영되고 있는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을 통합해 민ㆍ관 모두가 공동 활용할 수 있는 불법주정차 통합플랫폼을 구축했다. 불법주정차 단속위치, 주차정보 관련 내비게이션 및 주차장 안내 애플리케이션 등 민간 서비스가 새롭게 개발될 것으로 기대된다는 것이 과기부측 설명이다. 전라남도는 친환경 농산물의 생산, 가공, 유통, 소비 등 전 과정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한 '친환경 농산물 유통 플랫폼'을 구축했다.

과기부는 실증사업도 추가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본 사업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2월 중 한국정보화진흥원(NIA)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